[비즈니스포스트] 쿠팡의 직고용 배송 기사 노조인 쿠팡친구노동조합(쿠팡노조)가 민주노총에서 새벽배송 금지 논의가 나오는 것을 놓고 쿠팡노조의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조치일 수 있다는 뜻을 보였다.

쿠팡노조는 7일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 움직임을 놓고 “지금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쿠팡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며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쿠팡노조 "새벽배송 금지 논의, 민주노총 탈퇴 향한 보복조치일 수 있어"

▲ 쿠팡의 직고용 배송 기사 노조인 쿠팡친구노동조합(쿠팡노조)가 민주노총에서 새벽배송 금지 논의가 나오는 것을 놓고 쿠팡노조의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조치일 수 있다는 뜻을 보였다. <연합뉴스>


쿠팡노조가 민주노총 소속에 있을 때는 새벽배송 금지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진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조합원의 일자리를 뺏을 수 있는 주장을 노동조합이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쿠팡노조는 주장했다.

쿠팡노조는 “대다수 야간 배송 기사들이 반대하는 상황에서 민주노총만이 이를 고수하는 것은 그들의 조합 내 야간 배송기사 비율이 극히 낮기 때문에 나머지는 어떻게 돼도 상관없다는 의미로 보일 정도”라고 지적했다.

쿠팡노조는 정치적 활동이 아닌 조합원을 위한 실질 활동에 집중하겠다며 2023년 조합원 93% 찬성을 받아 민주노총을 탈퇴했다.

쿠팡노조는 야간 배송을 하는 조합원들의 비율이 40% 이상에 이른다며 이들의 고용 안정을 위협할 수 있는 시도는 납득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쿠팡노조는 “야간 노동자의 일자리와 임금 보전 대책 없이 무작정 새벽배송 금지를 추진하는 것은 탁상공론이자 정치적 의도가 섞인 행보일 뿐”이라며 “더 이상 쿠팡친구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시도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쿠팡노조는 6일 택배노동자인 김슬기 전국비노조택배연합 대표가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장에서 ‘당사자가 아니다’라는 이유로 퇴장조치 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민주노총의 반대가 작용했다는 후문”이라며 “정부는 쿠팡노조의 사회적 대화기구 참여를 즉시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