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과머니
- [현장] 두나무 오경석 대한민국 성장엔진으로 가상자산 지목, "활용법 고민할 시간"
- "미래 대한민국을 이끌어가기 위해 가상자산 사업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할 시간이다."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디콘, D-Con) 2025' 개회사에서 이렇게 말했다.오 대표는 먼저 "대한민국 산업 발전사는 성장 엔진을 '세대 교체'한 역사다"며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 전환한 뒤 IT와 콘텐츠 산업 고도화 등을 거치며 경제 강국으로 도약했다"고 말했다.그리고 이 전환에 이어 새로운 변화를 끌어갈 요소로 가상자산을 언급했다.오 대표는 "지금은 모두가 느끼듯 또 다른 변화의 시기이며 가상자산은 이 변화를 이끄는 주인공 가운데 하나다"며 "자산 토큰화를 활용한 자본시장의 디지털 전환, 가상자산 활용 투자전략 변화 등 가상자산 혁명은 금융의 작동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 전통 금융 허브들은 이미 가상자산업으로의 도약을 국가 아젠다로 천명하고 있다"고 짚었다.그는 "한국 역시 가상자산 산업을 활용할 방법을 고민할 때"라며 "'산업 구조 전환'이라는 지금까지의 성공 방정식을 다시 이용할 때다"고 강조했다.이날 행사에서는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원내대표),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 등이 '새로운 정치 세대, K-디지털자산의 길을 논하다'를 주제로 한 특별대담을 나눴다.(왼쪽부터)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원내대표),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이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D-Con) 2025'에서 특별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김형년 부회장은 약 10년 동안 업비트를 서비스하며 지금까지 느낀 점과 앞으로 가상자산 산업 10년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일지 묻는 질문에 '사업보국'을 말해 눈길을 끌었다.그는 "10년 동안 운영하며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이 가상자산 거래소가 국가 경제에 어떤 도움을 주냐는 것"이라며 "대답은 항상 '사업보국'이었다"고 답했다.김 부회장은 "먼저 사람을 많이 고용하고 세금을 많이 내는 기업을 만드는 게 사업보국이라고 생각한다"며 "업비트는 가상자산 부문에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D-Con) 2025'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그리고 규제가 미비해 글로벌 거래소로 자금이 유출되는 상황을 짚었다.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이용 수수료 가운데 10%는 부가세로 환수된다. 하지만 글로벌 거래소를 사용하면 부가세 등이 없다.김 부회장은 "많은 사람이 글로벌 거래소를 이용하는 상황이 회사 입장은 물론 국가 경제적으로 맞는 방향일지 고민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이어 관련 규제 명확화와 함께 투자자보호 조치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업비트 디콘은 올해 3번째로 열렸다. 이날 행사는 개회사와 축사, 특별대담에 이어 'K-신드롬, 디지털자산에서도 일어나려면?', '디지털자산이 바꾸는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각각 다룬 전문가 세션이 이어졌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