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깜짝실적' 반도체 부활 신호탄, D램 구조적 업사이클 진입
C-journal

글로벌

TSMC 2나노 파운드리 수율 향상 고전  내년 생산량  품절  맞물려 고민 커져
TSMC 2나노 파운드리 수율 향상 고전, 내년 생산량 '품절' 맞물려 고민 커져
TSMC가 대만에 운영하는 2나노 파운드리 공장 2곳의 내년 반도체 생산 물량이 애플과 퀄컴 등 고객사에 모두 예약된 것으로 전해졌다.그러나 TSMC의 2나노 수율이 시험 생산을 시작할 때와 유사한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러한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13일(현지시각) IT전문지 WCCF테크는 "TSMC가 2나노 반도체 생산 시작을 앞두고 있다"며 "많은 고객사들이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기다리며 경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TSMC는 연말부터 대만 신주와 가오슝에 위치한 공장에서 2나노 파운드리 제조 설비를 본격 가동한다. 2026년까지 생산 물량은 이미 모두 품절된 것으로 파악됐다.다만 WCCF테크는 TSMC 2나노 반도체 생산 수율이 아직 70%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관측을 전했다.이는 지난해 TSMC가 시험 생산을 진행할 당시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의문점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반도체 수율은 전체 생산품 대비 양품의 비율을 의미한다. 수율이 낮으면 생산성도 그만큼 떨어지고 수익성이나 경쟁력 측면에서도 불리할 수밖에 없다.WCCF테크는 "TSMC 2나노 수율이 시험 생산 때보다 높아졌을 것이라는 전문가 예측이 빗나간 것"이라고 지적했다.TSMC 2나노 반도체 초기 생산 물량의 약 절반은 애플이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퀄컴과 미디어텍 등 스마트폰 프로세서 설계 업체들이 뒤를 잇는다.앞으로 TSMC의 생산 능력이 확대되면 엔비디아와 AMD 등 인공지능(AI) 반도체 전문 기업도 고객사 목록에 포함될 공산이 크다.TSMC 2나노 파운드리 공정으로 제조된 반도체는 이론상 동일한 성능을 낼 때 기존 3나노 반도체보다 전력 소모량을 25~30% 줄일 수 있다.이는 인공지능 데이터센터에서 쓰이는 막대한 전력 소비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WCCF테크는 TSMC 2나노 공정의 파운드리 단가가 웨이퍼(반도체 원판)당 3만 달러(약 4283만 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그러나 TSMC가 3나노 파운드리 가격을 2만5천~2만7천 달러 안팎으로 인상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온 만큼 고객사들은 이를 오히려 저렴하다고 느낄 수 있다는 분석이 이어졌다.고객사들의 긍정적 반응은 TSMC가 향후 2나노 수주 기반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공산이 크다.그러나 가장 중요한 파운드리 수율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는다면 이런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TSMC는 16일 콘퍼런스콜을 열고 3분기 실적 및 향후 사업 계획을 발표한다. 이 자리에서 2나노 반도체 양산 시기와 수율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용원 기자

기후에너지

한국 금융정책 기후위기 대응 아시아서 중하위권  조국혁신당 차규근  한은 주도해야
한국 금융정책 기후위기 대응 아시아서 중하위권, 조국혁신당 차규근 "한은 주도해야"
한국은행(한은)과 금융위원회(금융위)가국제기관이 실시한 기후위기에 관한 정책 대응 평가에서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 및 한국·중국·일본 가운데 중하위권 순위를 기록했다.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은 비교적 양호한 점수를 얻었지만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은 조사 대상국들 가운데 최하위권 점수를 받았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기재위)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는 영국 싱크탱크인 포지티브 머니가 지난달 발표한 '아시아 녹색 중앙은행 점수'에서 24점을 받아 전체 13개국 가운데 8위에 머물렀다.포지티브머니는 런던 기반의 비영리 연구단체로 주요국 중앙은행의 녹색금융 지원 실적 등 기후변화 대응 관련 활동을 평가해 '녹색 중앙은행 점수 보고서'를 발표한다.우리나라(24점)는 중국(50점)을 비롯해 말레이시아(43점), 싱가포르(42점), 인도네시아(40점), 필리핀(40점), 일본(39점), 태국(25점)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세부 평가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통화정책은 50점 만점에 13점을 받아 중국·일본(16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포지티브머니는 이번 보고서에서 한은의 기후위기 대응을 두고 "외환보유액 운용을 기후 목표에 맞추기 위해 의미 있는 조치를 했다"며 "녹색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은행에 유리한 대출 조건을 제공했다"고 평가했다.포지티브머니는 이어 "녹색 채권 발행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한은과 정부 간에 더욱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짚었다.반면 금융정책에서는 50점 만점에 3점으로 최하위권이었다. 금융정책에서 우리나라보다 점수가 낮은 국가는 캄보디아(2점), 라오스, 브루나이, 미얀마(이상 0점)뿐이었다.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포지티브머니는 "한국의 금융 부문을 탄소중립 경로와 연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핵심 정책들이 여전히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차규근 의원은 중앙은행인 한은의 기후위기 관련 정책적 수단이 부족하다며 한은이 기후위기 대응을 주도적으로 할 수 있게 거버넌스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차 의원은 "시스템리스크로 번질 수 있는 기후위기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주도권을 쥐고 대응하도록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

Who Is?

대한민국 파워피플

오늘Who

칼럼인사이트

채널 Who

 그린워싱 과  그린허싱   기후재난에 기업의 새로운 풍경
채널Who 글로벌 CEO

"디즈니를 다시 위대하게", 밥 아이거 '정치적 올바름'과 결별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