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대형 컨테이너선 수주로 상반기 부진 만회  김희철 올해도 수주 1위 지킬까
한화오션 대형 컨선 수주로 상반기 부진 만회, 김희철 올해도 수주 1위 지킨다
C-journal

글로벌

TSMC 실적 호조가 엔비디아 반도체 수요 증명  소버린 AI 열풍은  금상첨화
TSMC 실적 호조가 엔비디아 반도체 수요 증명, 소버린 AI 열풍은 '금상첨화'
대만 TSMC의 2분기 실적 호조와 연간 매출 전망치 상향은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 인공지능(AI) 반도체의 강력한 수요를 증명한다는 평가가 나온다.특히 각국 정부의 '소버린 AI' 투자 확대가 엔비디아 반도체 수요에 더욱 탄력을 붙이며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시됐다.투자전문지 배런스는 18일 "TSMC가 발표한 실적 및 향후 전망치는 엔비디아에 호재"라며 "인공지능 반도체의 꾸준한 수요를 재확인했다"고 보도했다.TSMC는 전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연간 매출 증가율 예상치를 기존 20%대 중반에서 30%로 높여 내놓았다. 2분기 순이익도 지난해 2분기 대비 약 60% 늘었다고 발표했다.인공지능 반도체 수요 강세가 이어지며 TSMC의 반도체 위탁생산 호황도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배경으로 제시됐다.TSMC는 "인공지능 분야 수요는 점점 강력해지고 있는데 이는 하반기에도 변화가 없다"며 "이는 4조 달러 기업을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시가총액이 최근 4조 달러를 돌파한 엔비디아의 인공지능 반도체 호황을 언급한 것이다.증권사 제프리스는 "TSMC의 이러한 발언은 지난 분기보다 더 낙관적 시장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전했다.제프리스는 세계 각국이 자체적으로 인공지능 데이터센터를 확보해 기술 경쟁력을 지키려는 소버린 AI 열풍도 엔비디아와 TSMC 실적에 긍정적 요소라고 지목했다.엔비디아 인공지능 반도체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배런스는 "미국 정부가 중국에 엔비디아 인공지능 반도체 수출 재개를 허용한 것과 더불어 글로벌 수요 확대가 앞으로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17일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보다 0.95% 오른 17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미국에 상장된 TSMC 주식예탁증서(ADR) 가격은 하루만에 3.38% 뛰었다. 김용원 기자

기후에너지

블룸버그  트럼프 정책 탓에 미국 재생에너지 투자 급감  2028년 41  감소
블룸버그 "트럼프 정책 탓에 미국 재생에너지 투자 급감, 2028년 41% 감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시행한 감세 법안으로 미국 태양광 및 풍력발전 설치량이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8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자체 연구소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 보고서를 인용해 2027년 이후 미국의 친환경 발전 설비 설치량이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트럼프 정부는 의회 동의를 거쳐 감세 법안인 '크고 아름다운 법안'을 시행했다.2028년부터 친환경 에너지 세액공제를 폐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2028년 미국 내 친환경 발전 설비 설치량은 48GW에 그쳐2027년 예상치인 81GW와 비교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BNEF는 보고서에서 '풍력과 태양광 프로젝트 세액공제는 단기적으로 존속하지만 친환경 사업자 대다수는 앞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블룸버그는 재생에너지가 아직 정부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이번 보고서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다고설명했다.트럼프 정부의 친환경 발전소세액공제 폐지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 산업이 전복될 위기에 처한 셈이라는 것이다.BNEF는 2030년 기준 미국의 신규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증가량은 기존 전망치와 비교해 대비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이번 세액공제 폐지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친환경 산업 분야는 태양광이 될 것으로 보인다는시장 조사기관 엔버러스의 분석도 제시됐다.블룸버그는 '친환경 에너지 사업자들이 세액공제 혜택을 잃게 되면 현재 계획된 태양광 프로젝트의 30%만 생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풍력 사업자 가운데 약 57%는 세액공제 없이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손영호 기자

Who Is?

대한민국 파워피플

오늘Who

칼럼인사이트

채널 Who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기업가치가 11조  시장은 절래절래
채널Who C-LAB

금융 선진국 어떻게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하고 있나, 한국의 현주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