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럭셔리 전기차 진짜 승부, 'GV60 마그마' 포르쉐 타이칸 잡을까
C-journal

글로벌

모간스탠리  애플 로봇으로 연매출 1300억 달러 전망   아이폰 이을 잠재력 평가
모간스탠리 "애플 로봇으로 연매출 1300억 달러 전망", 아이폰 이을 잠재력 평가
애플이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휴머노이드)을 비롯한 로봇 사업으로 15년 뒤 한화로 연간 200조 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릴 것이라는 해외 증권사 전망이 나왔다.야후파이낸스는 7일 보도를 통해 "애플이 2040년에 로봇 사업으로 연간 최대 1330억 달러(약 194조 원)의 매출을 거둘 것"이라는 모간스탠리의 보고서를 인용했다.모간스탠리는 앞으로 15년 동안 미국 가정에만 누적해서 160만 대의 휴머노이드가 배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휴머노이드 평균 판매 가격이 3만 달러(약 4370만 원)가 될 것이며, 애플은 2040년 글로벌 로봇 시장의 9% 가량을 점유할 것이라고 모간스탠리는 내다봤다.전자전문지 애플인사이더는 "아이폰 연간 매출이 2천억 달러(약 291조 원) 안팎"이라며 모간스탠리의 가정이 맞으면 로봇은 애플에서 두 번째로 큰 사업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모간스탠리는 애플이 로봇 관련 채용을 늘리고 새로운 특허를 등록하는 등 로봇 양산을 위한 준비 작업을 한다고 분석했다.애플이 전자부품 재활용을 돕는 로봇 '데이지'를 자체 개발하고 전기차 개발에도 손을 댔던 경험을 살려 센서와 기계공학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을 수 있었다고 모간스탠리는 언급했다.여기에 애플이 아이폰을 비롯한 전자제품에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활용하고 서비스 부문에서 수익화까지 고려하면 로봇 사업으로 상당한 매출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2027년 출시를 목표로 디스플레이에 사람 팔 형태의 부품을 단 인공지능(AI)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모간스탠리의 에릭 우드링 애널리스트는 "애플은 1300억 달러(약 189조 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23억 대에 달하는 활성 전자기기 등 로봇 분야에 주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무기를 여럿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이근호 기자

기후에너지

기후솔루션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슈 브리프   53 는 탄소중립 경로와 불일치
기후솔루션 2035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슈 브리프, "53%는 탄소중립 경로와 불일치"
국내 기후단체가 한국과 미국 연구진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부가 공개한 차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분석한 결과 탄소중립을 달성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라는 결론이 나왔다.7일 기후솔루션은 미국 메릴랜드대 글로벌 지속가능성센터(CGS),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안에 대한 이슈 브리프를 내놨다고 전했다.앞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2035 NDC 1안과 2안을 공개했다. 1안은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국가 온실가스 감축량을 50~60%로 설정했고 2안은 하한선을 좀 더 높인 53%로 설정했다.기후솔루션은 기존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하한선인 50%, 53%는 모두 탄소중립 달성 경로와 부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한국 정부가 제시한 범위 목표에서 탄소중립 경로와 일치하는 것은 상한선인 60%뿐인 것으로 파악됐다.또 메릴랜드대, 서울대, 카이스트 연구진들이 제시한 모델들은 정부가 이번에 포함시킨 국제 탄소감축 사업 없이도 54~64% 수준의 감축이 이행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놨다.국제 탄소감축 사업은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해외에서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거나 줄일 수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한 뒤 그 성과를 국내에 크레딧 형태로 들어와 국내 배출량을 상쇄하는 것을 말한다.정부는 이번에 2035 NDC안을 공개하면서 1, 2안 모두에 국제 탄소감축 사업 결과를 포함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이에 기후솔루션은 '국제 탄소감축 사업은 규모와 효과 모두 불확실하다'며 '감축 사업 의존성을 축소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실제로 탄소 크레딧을 통한 탄소상쇄는 효용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040년 온실가스 감축 계획에 탄소상쇄를 부분적으로 적용하기로 한 유럽연합(EU)도 거의 1년에 걸친 협의 절차를 해야 했다.기후솔루션은 '60% 감축목표는 도전적이지만 실제로 실행이 가능한 야심찬 경로'라며 '하위 목표는 탄소중립과 불일치하기 때문에 정부는 지방정부 역할 확대, 비이산화탄소 규제, 탄소포집 등 보완 기술까지 제한적으로 활용해 목표를 높여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

Who Is?

대한민국 파워피플

오늘Who

칼럼인사이트

채널 Who

경영 문외한도 괜찮다  이나모리 가즈오에게 물어봐라
채널Who C-LAB

김범석은 '글로벌 쿠팡' 자신할까, ESG경영과 사회적 의무 현재 스코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