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신성장산업 육성과 고령화 대응에 금융권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23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내 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자본시장 발전과 생산적 금융,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금융의 역할 등을 논의했다.
 
금감원장 이찬진, "한국 경제 저성장 고착화 직면, 금융 적극적 역할 필요"

이찬진 금감원장이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간담회에는 이항용 금융연구원장,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송원근 현대경제연구원장,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 정신동 KB경영연구소 소장, 박정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지금 한국 경제는 저성장 고착화에 직면하고 있어 ‘진짜 성장’을 위한 금융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한 시기”라며 “연구기관은 경제금융의 싱크탱크로 장기적 안목에서 금융권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달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크게 △생산적 금융 강화를 위한 기업 성장단계별 자금공급 △고령화로 변화하는 경제사회 충격 완화 대응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성장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의 창업, 성장, 사업재편에 이르는 단계별 맞춤형 자금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금감원은 부동산에 쏠린 자금이 혁신성장부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도 이에 맞춰 안정성 위주 영업관행에서 벗어나 기업 성장 단계별 위험을 관리하며 충분한 자금을 적시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부동산에 묶여있는 고령층 자금 유동화 방안도 필요하다고 봤다.

이 원장은 “금융권은 고령화로 변화하는 금융수요를 소비, 투자, 복지와 연결하면서 성장과 후생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부동산에 집중된 고령층의 자금을 다양한 연금, 신탁상품으로 유동화하고 리츠와 연계한 노인복지주택사업 등을 시행한다면 자본시장 발전과 복지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은 이밖에도 미국 관세 충격에 대비하면서 산업경쟁력을 제고해야 하는 등 어려운 환경에 처해있다”며 “금감원은 대내외 위험요인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기업과 소비자가 원하는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