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가 금융 중심지 육성을 위해 관제탑 역할을 할 기관을 설립한다.
부산광역시는 올해 안으로 가칭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을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안에 설립하겠다고 13일 밝혔다.
부산경제진흥원 산하에 설립된 기존의 부산국제금융도시추진센터의 기능을 확대해 독립기관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국제금융진흥원은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 관련 기관들의 협업을 이끄는 관제탑 역할과 미래 금융시장 변화에 대처하는 싱크탱크 역할, 해양·물류 파생 금융 등 부산형 금융 특화모델 개발의 역할을 맡는다.
주로 서울에서만 열려왔던 투자설명회(IR) 등 행사를 비롯해 국내외 민간 금융기관의 부산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역할 수행을 위해 상주 직원 규모를 기존 4명에서 20여 명으로 늘린다.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기술보증기금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1명씩 인원을 파견 받는다는 계획도 세웠다.
정옥균 부산광역시 서비스금융과장은 “올해는 부산이 금융 중심지로 지정된 지 10년째로 부산국제금융센터 1, 2단계 완공과 금융 공공기관 이전 등 인프라 구축에서는 성과를 냈지만 콘텐츠를 채우는 것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면서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설립을 통해 공공기관들과 긴밀한 협업체계를 구축해 글로벌 금융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틀을 잡아 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15일 부산국제금융센터 3층 캠코마루에서 열릴 '부산 금융 중심지 10주년 세미나'에서 국제금융진흥원 설립과 관련된 구체적 내용을 발표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
부산광역시는 올해 안으로 가칭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을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안에 설립하겠다고 13일 밝혔다.

▲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의 모습.<연합뉴스>
부산경제진흥원 산하에 설립된 기존의 부산국제금융도시추진센터의 기능을 확대해 독립기관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국제금융진흥원은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 관련 기관들의 협업을 이끄는 관제탑 역할과 미래 금융시장 변화에 대처하는 싱크탱크 역할, 해양·물류 파생 금융 등 부산형 금융 특화모델 개발의 역할을 맡는다.
주로 서울에서만 열려왔던 투자설명회(IR) 등 행사를 비롯해 국내외 민간 금융기관의 부산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한다.
역할 수행을 위해 상주 직원 규모를 기존 4명에서 20여 명으로 늘린다.
한국거래소,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기술보증기금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1명씩 인원을 파견 받는다는 계획도 세웠다.
정옥균 부산광역시 서비스금융과장은 “올해는 부산이 금융 중심지로 지정된 지 10년째로 부산국제금융센터 1, 2단계 완공과 금융 공공기관 이전 등 인프라 구축에서는 성과를 냈지만 콘텐츠를 채우는 것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면서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설립을 통해 공공기관들과 긴밀한 협업체계를 구축해 글로벌 금융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틀을 잡아 갈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15일 부산국제금융센터 3층 캠코마루에서 열릴 '부산 금융 중심지 10주년 세미나'에서 국제금융진흥원 설립과 관련된 구체적 내용을 발표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