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솔루션 "최소발전용량 하향하면 전력망 운영비 줄어, 제주서 45억 낭비"

▲ 제주도가 2024년 4월에 시행한 최소발전용량 감소 조치를 2022년 9월~2024년 3월 기간에 도입했다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줄어 약 5800MWh에 해당하는 재생에너지가 더 공급됐을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최소발전용량 조정에 따른 재생에너지 공급량 변화 추산치를 나타낸 그래프. <기후솔루션>

[비즈니스포스트] 화력발전소 가동을 보장해주는 최소발전용량을 하향하면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고 전력망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후솔루션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주 출력제어 사례로 본 최소발전용량 하향 조정의 편익'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소발전용량은 환경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개별 발전기가 유지해야 하는 최수 출력 수준을 말한다. 석탄, 가스, 원자력 등 중앙급발전기에 적용된다.

전력망은 항상 공급과 수요가 일치해야 안정적으로 전압을 유지해야 정전 등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전력망 운영을 맡고 있는 한국전력은 최소발전용량을 보장받아야 하는 석탄, 가스 등 발전소들을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출력제어를 걸고 있다.

기후솔루션은 정부가 2024년 4월에 도입한 최소발전용량 하향 조치를  2022년 9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제주도에 미리 적용했다면 어떤 효과가 나타났을지 전력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을 진행했다.

2024년 4월 정부 최소발전용량 하향 조치에 따라 남제주 1, 2호기는 최소발전용량을 60%에서 39%로, 제주기력 2, 3호기는 42%에서 28%로, 제주내연 1, 2호기는 26%에서 24%, 제주복합 1, 2호기는 78%에서 58% 등으로 낮췄다.

분석 결과 2022년 9월~2024년 3월 기간에 하향 조치가 미리 도입됐다면 출력제어로 잃은 재생에너지 양이 약 17%(전력량 5800MWh) 줄었을 것으로 추산됐다. 국제 권고 수준까지 낮추면 출력제어 양은 약 70%(전력량 2만 4032MWh) 더 감소했을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 4인 가구 월평균 전력 소비량이 280kWh인 것을 감안하면 약 8만5천 가구 분량에 해당한다. 재생에너지가 이만큼 더 많이 사용됐다면 전력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약 1만 1740톤 줄었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를 연료비로 환산하면 45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도 봤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후솔루션은 정부가 제주도에 단행한 최소발전용량 감소 조치를 육지에서도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다윤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은 단순히 시장제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존 발전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에 있다"며 "발전기의 최소출력을 낮추는 정책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며 경제적, 환경적 효과도 명확한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