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보보호 공시 대상 기업 40곳 중 절반이 당국으로부터 수정 공시 요청을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6일 2025년도 정보보호 공시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 ‘정보보호 공시 검증’ 결과를 확정하고, 심의 결과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정보보호 공시 대상 기업 40곳 중 21곳에 수정 요청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6일 ‘정보보호 공시 검증’ 결과를 확정하고, 심의 결과를 발표했다. <연합뉴스>


이번 검증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분야 기업 40곳을 대상으로 2025년 8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실시됐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정보보호 투자 및 인력 현황 등 기업이 공시한 항목을 중심으로 실제 현황과의 일치 여부를 면밀히 검증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검증 과정에서 회계·감리 등 전문성을 갖춘 공시 검증단을 구성해 검증을 수행했다. 이후 검증단의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보호 공시 심의위원회가 기업별 공시내용의 정확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했다.

정보보호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는 정보보호 투자액 및 인력 현황 등 주요 항목에서의 오차 및 증감률 등에 5%의 기준을 세우고 검증한 결과, 대상 기업 40곳 중 21곳이 이에 해당돼 수정 공시 대상으로 확정했다.

이들 기업은 심의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공시 내용을 보완하고, 관련 사유서와 함께 14일 까지 정보보호 공시 종합포털을 통해 수정공시를 제출해야 한다. 

만약 검증 결과에 따른 수정공시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최대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시 제도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검증 대상을 확대하는 한편, 검증 절차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또 공시 기업이 자체적으로 오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방침(가이드라인)을 개선하고 교육·자문 지원도 병행한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