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인석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 금리 조정에 신중해야 한다는 뜻을 내보였다.
신 위원은 12일 서울 태평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금 우리 경제가 인플레이션의 과속이 아닌 저속이 우려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며 “먼저 기준금리 조정에 나서 물가에 대응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바라봤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목표로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데 현재 물가 상승 추세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올리면 중앙은행의 정책을 놓고 불신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신 위원은 "인플레이션 목표관리의 궁극적 과제는 통화정책에 관한 신뢰 유지"라며 "불확실성이 높은 경제환경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런 책무를 다하는지 항상 자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4%였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평균(3.3%)보다 절반 이하로 하락했다.
신 위원은 “현재 정책금리는 중립금리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실물경제가 잠재성장을 타고 있으니 금리 조정은 물가에 초점을 둬야 한다”며 “이 조정은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것을 반드시 확인하면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
신 위원은 12일 서울 태평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금 우리 경제가 인플레이션의 과속이 아닌 저속이 우려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며 “먼저 기준금리 조정에 나서 물가에 대응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바라봤다.

▲ 신인석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12일 서울 태평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금 우리 경제가 인플레이션의 과속이 아닌 저속이 우려되는 상황에 놓여 있다”며 “기준 금리 조정으로 물가 경로에 대응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목표로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데 현재 물가 상승 추세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올리면 중앙은행의 정책을 놓고 불신이 커질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신 위원은 "인플레이션 목표관리의 궁극적 과제는 통화정책에 관한 신뢰 유지"라며 "불확실성이 높은 경제환경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런 책무를 다하는지 항상 자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 동안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4%였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평균(3.3%)보다 절반 이하로 하락했다.
신 위원은 “현재 정책금리는 중립금리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실물경제가 잠재성장을 타고 있으니 금리 조정은 물가에 초점을 둬야 한다”며 “이 조정은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것을 반드시 확인하면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