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가 올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대형 건설회사 주식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세련 SK증권 연구원은 4일 “대형 건설사들은 올해 주요 프로젝트의 낙찰 결과가 연말에 집중돼 있다”며 “각 회사별 전망치를 더하면 올해 해외 수주는 2017년보다 43.8%가량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8월까지 누적된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 물량은 204억 달러로 1년 전보다 2.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아시아 지역 수주가 115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6% 늘었지만 중동 지역 수주가 69억 달러로 같은 기간 25% 줄었다. 아시아와 중동은 국내 건설사 해외 수주 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대형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가 연말에 집중되면서 2017년 수주 규모를 크게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연말 해외 플랜트 발주가 늘어날 주요 요인으로 중동,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의 공격적 생산 설비 투자 확대를 꼽았다. 국내외 에너지업체들의 플랜트 증설도 대형 건설사의 해외수주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연말부터 내년까지 낙찰될 수주 결과를 기대한다면 대형 건설주는 현재 주가 수준에서 여전히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
이에 따라 대형 건설회사 주식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한화건설이 이라크 비스마야에 짓고 있는 신도시 전경, <한화건설>
김세련 SK증권 연구원은 4일 “대형 건설사들은 올해 주요 프로젝트의 낙찰 결과가 연말에 집중돼 있다”며 “각 회사별 전망치를 더하면 올해 해외 수주는 2017년보다 43.8%가량 늘어날 것”이라고 바라봤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8월까지 누적된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 물량은 204억 달러로 1년 전보다 2.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아시아 지역 수주가 115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6% 늘었지만 중동 지역 수주가 69억 달러로 같은 기간 25% 줄었다. 아시아와 중동은 국내 건설사 해외 수주 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대형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가 연말에 집중되면서 2017년 수주 규모를 크게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연말 해외 플랜트 발주가 늘어날 주요 요인으로 중동,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의 공격적 생산 설비 투자 확대를 꼽았다. 국내외 에너지업체들의 플랜트 증설도 대형 건설사의 해외수주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연말부터 내년까지 낙찰될 수주 결과를 기대한다면 대형 건설주는 현재 주가 수준에서 여전히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