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방송통신정책 수립 과정에서 국민과 소통을 강화한다.
방통위는 8일 위원회의 심의·의결에 앞서 국민 의견을 수렴하는 ‘국민 의견 반영제도’를 8월부터 시범 실시한다고 밝혔다.
국민의견 수렴 대상은 국민적 관심도가 높거나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시청자 권익 증진을 위한 정책 안건 등이다.
방통위는 의견 수렴 관련 절차가 있는 인·허가 안건이나 영업상 비밀 또는 개인정보 침해 소지 우려가 있는 조사·제재 등은 국민의견 수렴 대상에서 뺐다.
방통위는 첫 안건으로 ‘2017년도 장애인 방송 제공 의무 이행실적 평가에 관한 건’을 선정해 8~27일까지 20일 동안 방통위 홈페이지(www.kcc.go.kr)를 통해 국민 의견을 모은다.
방통위는 10월까지 한정된 안건에 한해 국민 의견 반영제도를 시범 실시한 뒤 11월부터 안건을 수시로 선정해 국민 의견을 정책에 반영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기자]
방통위는 8일 위원회의 심의·의결에 앞서 국민 의견을 수렴하는 ‘국민 의견 반영제도’를 8월부터 시범 실시한다고 밝혔다.

▲ 이효성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국민의견 수렴 대상은 국민적 관심도가 높거나 실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내용,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시청자 권익 증진을 위한 정책 안건 등이다.
방통위는 의견 수렴 관련 절차가 있는 인·허가 안건이나 영업상 비밀 또는 개인정보 침해 소지 우려가 있는 조사·제재 등은 국민의견 수렴 대상에서 뺐다.
방통위는 첫 안건으로 ‘2017년도 장애인 방송 제공 의무 이행실적 평가에 관한 건’을 선정해 8~27일까지 20일 동안 방통위 홈페이지(www.kcc.go.kr)를 통해 국민 의견을 모은다.
방통위는 10월까지 한정된 안건에 한해 국민 의견 반영제도를 시범 실시한 뒤 11월부터 안건을 수시로 선정해 국민 의견을 정책에 반영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