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과학기술을 통해 미세먼지 문제의 근본적 해결방안을 마련한다.
정부는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합동으로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미세먼지의 과학적 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근본적으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먼지 프로젝트 사업단을 출범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92억 원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되며 2018년에는 전년 대비 5% 늘어난 126억 원을 넣는다.
범부처 미세먼지 프로젝트는 △미세먼지 발생과 유입 △측정과 예보 △집진과 저감 △국민생활 보호와 대응 등 4대 부문별로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을 지속 수행한다.
발생과 유입 및 원인규명분야는 동북아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밝히는 데 필요한 중형 스모그 챔버를 구축하고 독자적으로 한반도 대기질 조사가 가능한 항공관측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측정과 예보분야는 미세먼지 입체 관측망을 활용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해 미세먼지 단기 예보 정확도를 2016년 69%에서 2020년 74%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집진과 저감분야는 사업장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한 제철소 실증기술을 확보하고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변환하고 저감하는 필터소재를 개발하는 등 원천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국민생활 보호와 대응분야는 실제 주택에서 생활보호제품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실환경 평가 인증규격(안)을 제시해 국민들이 환기설비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도 마련한다.
고농도 미세먼지의 사회적 이슈에 해법을 만들어가는 미세먼지 솔루션 포럼과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시민 3분 발언대, 1천 명 이상 미세먼지 파수꾼 양성교육 등 대국민 소통창구도 제공된다.
동북아 및 한-EU포럼 등을 통해 국제연구협력 네트워크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2월7일 대기질 관리 동향과 미세먼지의 건강영향 등 주제를 놓고 한국과 유럽 전문가간 긴밀한 미세먼지 사례를 공유하는 공동 워크샵이 계획돼 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국장은 “체계적 조사·연구 확대로 과학적 근거 기반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겠다”며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정부는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합동으로 미세먼지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정부가 25일 범부처 합동으로 미세먼지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지난해 미세먼지의 과학적 관리 기반을 구축하고 근본적으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먼지 프로젝트 사업단을 출범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92억 원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되며 2018년에는 전년 대비 5% 늘어난 126억 원을 넣는다.
범부처 미세먼지 프로젝트는 △미세먼지 발생과 유입 △측정과 예보 △집진과 저감 △국민생활 보호와 대응 등 4대 부문별로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을 지속 수행한다.
발생과 유입 및 원인규명분야는 동북아 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밝히는 데 필요한 중형 스모그 챔버를 구축하고 독자적으로 한반도 대기질 조사가 가능한 항공관측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측정과 예보분야는 미세먼지 입체 관측망을 활용하고 빅데이터를 구축해 미세먼지 단기 예보 정확도를 2016년 69%에서 2020년 74%로 높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집진과 저감분야는 사업장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위한 제철소 실증기술을 확보하고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변환하고 저감하는 필터소재를 개발하는 등 원천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국민생활 보호와 대응분야는 실제 주택에서 생활보호제품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실환경 평가 인증규격(안)을 제시해 국민들이 환기설비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도 마련한다.
고농도 미세먼지의 사회적 이슈에 해법을 만들어가는 미세먼지 솔루션 포럼과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시민 3분 발언대, 1천 명 이상 미세먼지 파수꾼 양성교육 등 대국민 소통창구도 제공된다.
동북아 및 한-EU포럼 등을 통해 국제연구협력 네트워크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2월7일 대기질 관리 동향과 미세먼지의 건강영향 등 주제를 놓고 한국과 유럽 전문가간 긴밀한 미세먼지 사례를 공유하는 공동 워크샵이 계획돼 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국장은 “체계적 조사·연구 확대로 과학적 근거 기반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겠다”며 “미세먼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