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과 미국의 무역협상으로 하반기 경제 불확실성이 크게 완화됐다고 바라봤다.
이 총재는 18일 공개된 BBC와 인터뷰에서 “한국과 미국의 무역 합의로 통상 불확실성이 상당히 줄었다”며 “올해 상반기에도 수출물량이 조기 출하된 덕분에 데이터가 그렇게 나쁘지 않았는데 하반기에는 더 큰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대미 투자협상과 관련해서도 “미국은 기초과학에 강점이 있고 한국은 제조·응용기술이 뛰어난 만큼 두 나라가 이를 결합한 합작투자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한국 경제 성장을 위해 공급망 다변화는 필요하다고 봤다.
이 총재는 “이번 무역긴장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미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이 시작됐다”며 “특정산업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크게 확대되면서 앞으로도 한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는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무역과 더불어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인공지능(AI)와 같은 신기술을 꼽았다.
이 총재는 “한국은 다행히도 신기술, 특히 인공지능분야에서 좋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의 인공지능산업은 소프트웨어는 물론 하드웨어에서도 매우 강하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인공지능 거품론을 놓고는 “설령 거품이 일부 있다고 해도 인공지능은 대형 서버뿐 아니라 로봇, 소형기기 등 일상 제품에도 적용되는 ‘피지컬 AI’로 확산하면서 막대한 반도체 수요를 일으킬 것”이라며 “이런 점에서 한국은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들보다 안전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인공지능 경쟁에서 누가 승자가 산업 성장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이것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이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
이 총재는 18일 공개된 BBC와 인터뷰에서 “한국과 미국의 무역 합의로 통상 불확실성이 상당히 줄었다”며 “올해 상반기에도 수출물량이 조기 출하된 덕분에 데이터가 그렇게 나쁘지 않았는데 하반기에는 더 큰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단기금융시장 발전과 코파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총재는 대미 투자협상과 관련해서도 “미국은 기초과학에 강점이 있고 한국은 제조·응용기술이 뛰어난 만큼 두 나라가 이를 결합한 합작투자를 발전시킬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한국 경제 성장을 위해 공급망 다변화는 필요하다고 봤다.
이 총재는 “이번 무역긴장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미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이 시작됐다”며 “특정산업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크게 확대되면서 앞으로도 한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는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무역과 더불어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인공지능(AI)와 같은 신기술을 꼽았다.
이 총재는 “한국은 다행히도 신기술, 특히 인공지능분야에서 좋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의 인공지능산업은 소프트웨어는 물론 하드웨어에서도 매우 강하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인공지능 거품론을 놓고는 “설령 거품이 일부 있다고 해도 인공지능은 대형 서버뿐 아니라 로봇, 소형기기 등 일상 제품에도 적용되는 ‘피지컬 AI’로 확산하면서 막대한 반도체 수요를 일으킬 것”이라며 “이런 점에서 한국은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들보다 안전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인공지능 경쟁에서 누가 승자가 산업 성장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이것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이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