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생명 목표주가가 올랐다.
3분기 단단한 실적을 낸 가운데 자본 건전성 강화와 정책 수혜가 더해지며 안정적 실적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안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14일 삼성생명 목표주가를 기존 16만 원에서 22만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며 삼성생명을 보험업종 최선호주로 꼽았다.
삼성생명 주가는 13일 16만8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안 연구원은 “일회성 요인이 반영되기는 했지만 꾸준히 좋은 실적을 기록 중”이라며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두 자릿수 이상의 연간 실적 증가율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삼성생명은 3분기 연결기준으로 지배주주 순이익 7230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증가하며 시장 기대치(컨센서스)에 부합했다.
보험금예실차가 부진했음에도 투자이익이 이를 상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보험손익은 2626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45% 감소했다. 보험계약마진(CSM)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의료파업 완화와 영업일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보험금예실차가 큰 폭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투자손익은 경상적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페럼타워 처분이익 약 2359억 원이 더해지며 지난해 3분기보다 66% 증가했다.
삼성생명의 3분기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93%로 2분기 말보다 6%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안 연구원은 “삼성생명은 단단한 기초체력과 높은 대주주 지분율, 10%에 달하는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어 정책 변화 등 외부 환경적 요인의 수혜도 크게 누릴 것”이라고 바라봤다. 전해리 기자
3분기 단단한 실적을 낸 가운데 자본 건전성 강화와 정책 수혜가 더해지며 안정적 실적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 삼성생명이 3분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순이익을 낸 것으로 분석됐다.
안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14일 삼성생명 목표주가를 기존 16만 원에서 22만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하며 삼성생명을 보험업종 최선호주로 꼽았다.
삼성생명 주가는 13일 16만8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안 연구원은 “일회성 요인이 반영되기는 했지만 꾸준히 좋은 실적을 기록 중”이라며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두 자릿수 이상의 연간 실적 증가율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삼성생명은 3분기 연결기준으로 지배주주 순이익 7230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증가하며 시장 기대치(컨센서스)에 부합했다.
보험금예실차가 부진했음에도 투자이익이 이를 상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보험손익은 2626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45% 감소했다. 보험계약마진(CSM)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지만 의료파업 완화와 영업일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보험금예실차가 큰 폭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투자손익은 경상적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페럼타워 처분이익 약 2359억 원이 더해지며 지난해 3분기보다 66% 증가했다.
삼성생명의 3분기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93%로 2분기 말보다 6%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안 연구원은 “삼성생명은 단단한 기초체력과 높은 대주주 지분율, 10%에 달하는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어 정책 변화 등 외부 환경적 요인의 수혜도 크게 누릴 것”이라고 바라봤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