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석운 비즈니스포스트 대표이사 4일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에서 열린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글로벌 공급망으로서 베트남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며 한국이 베트남과 금융산업 협력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4일 베트남 롯데호텔 하노이에서는 ‘한-아세안 협력 확대를 위한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가 열렸다.
강 대표는 개회사에서 “금융은 더 이상 단순한 자금 공급자가 아니다”며 “산업 발전,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이끄는 핵심동력”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밸류체인의 재편, 지정학적 긴장, 거대한 산업전환 등 복합적 불확실성의 시대 속 금융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아세안 협력 확대를 위한 핵심국가로는 베트남을 지목했다.
강 대표는 “아세안은 저성장, 고령화라는 구조적 도전에 직면한 한국 경제와 금융산업에 새로운 활로를 열어줄 핵심 성장축”이라며 “특히 베트남은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허브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또 럼 베트남 당서기장의 국빈 방한을 통해 한-베트남 관계를 더욱 미래 지향적이며 호혜적으로 발전시키기로 한 것은 단순한 외교적 수사가 아니다”며 “경제, 산업, 금융 등 모든 차원에서 협력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과 베트남의 금융산업 협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 실행 과제도 제시했다.
강 대표는 “한국과 베트남은 ‘전략적 금융 플랫폼’을 구체적으로 설계해고 실행해야 할 때”라며 “녹색금융, 디지털금융, 공급망금융 등 핵심 분야에서 한-베트남 공동 플랫폼을 구축해 협력의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리스크 거버넌스 강화를 통한 한국 금융의 위상 강화, 한국과 아세안 정부, 국제기구 등이 참여하는 복합금융 협력 생태계 구축 등도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강 대표는 “2025 비즈니스포스트 금융포럼 in 하노이가 한국-아세안 금융 협력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기를 기원한다”는 말로 개회사를 마무리했다.
강 대표는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한겨레신문 기자, 한겨레교육 대표, 비즈니스포스트 편집국장 등을 역임했다. 이한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