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JB금융지주가 ‘수익성 중심 내실성장’ 기조를 이어가며 3분기 누적 기준 최대 실적을 거뒀다.
JB금융지주는 3분기 연결기준 순이익 2083억 원을 냈다고 28일 밝혔다. 1년 전보다 7.9% 증가했다.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 연결기준 순이익은 5787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8% 늘었다.
3분기와 누적 기준 모두 사상 최대 수준이다.
주요 수익성 경영지표로는 자기자본이익률(ROE) 13.5%와 총자산순이익률(ROA) 1.15%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경영 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4.8%로 안정적으로 관리됐다. 자본력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잠정 집계 기준 12.72%로 나타났다.
JB금융지주는 “위험가중자산이익률(RoRWA) 중심 질적 성장 전략을 강화해 핵심사업 비중을 확대하는 등 자산 리밸런싱 전략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JB금융지주는 이사회에서 보통주 1주당 현금 160원의 3분기 배당과 400억 원 규모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결정했다.
그룹 주요 계열사도 수익성 중심 내실경영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냈다.
3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 은행 계열사인 전북은행은 1784억 원, 광주은행은 2336억 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2024년보다 전북은행은 3.0% 늘었고 광주은행은 7.0% 줄었다.
JB우리캐피탈은 순이익 2116억 원을 내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0% 증가했다.
JB자산운용과 JB인베스트먼트는 각각 순이익 43억 원, 61억 원을 거뒀다.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1년 전보다 33.6% 늘어난 순이익 370억 원을 올렸다.
김기홍 JB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은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JB금융은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 경영 과제로 수익성 중심 내실 성장 기반을 단단하게 다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JB금융지주는 3분기 연결기준 순이익 2083억 원을 냈다고 28일 밝혔다. 1년 전보다 7.9% 증가했다.
▲ JB금융지주가 3분기 연결기준 누적 순이익 5787억 원을 냈다고 28일 밝혔다.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누적 연결기준 순이익은 5787억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8% 늘었다.
3분기와 누적 기준 모두 사상 최대 수준이다.
주요 수익성 경영지표로는 자기자본이익률(ROE) 13.5%와 총자산순이익률(ROA) 1.15%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경영 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4.8%로 안정적으로 관리됐다. 자본력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잠정 집계 기준 12.72%로 나타났다.
JB금융지주는 “위험가중자산이익률(RoRWA) 중심 질적 성장 전략을 강화해 핵심사업 비중을 확대하는 등 자산 리밸런싱 전략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JB금융지주는 이사회에서 보통주 1주당 현금 160원의 3분기 배당과 400억 원 규모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결정했다.
그룹 주요 계열사도 수익성 중심 내실경영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냈다.
3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 은행 계열사인 전북은행은 1784억 원, 광주은행은 2336억 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2024년보다 전북은행은 3.0% 늘었고 광주은행은 7.0% 줄었다.
JB우리캐피탈은 순이익 2116억 원을 내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0% 증가했다.
JB자산운용과 JB인베스트먼트는 각각 순이익 43억 원, 61억 원을 거뒀다.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1년 전보다 33.6% 늘어난 순이익 370억 원을 올렸다.
김기홍 JB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은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JB금융은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 경영 과제로 수익성 중심 내실 성장 기반을 단단하게 다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