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면서 해킹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2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자체 해킹 모의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산하기관 40곳에서 457건의 신규 취약점이 발견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힘 최수진 "KAIST 등 과기정통 산하기관 40곳에서 신규 해킹 취약점 457건 발견"

▲ 28일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 40곳에서 신규 해킹 취약점 457건이 확인됐다. <연합뉴스>


기관별로 살펴보면 한국과학기술원(47건)이 가장 많았고, 대구경북과학기술원(45건), 한국재료연구원(37건), 한국생산기술연구원(28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5건), 한국화학연구원(21건)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이 발견된 취약점은 △파라미터변조와 인증·세션관리로 121건에 달했다. 이어 △중요정보(서버정보·절대경로 등) 노출 108건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등(XSS·CSRF) 취약점 46건 등이 발견됐다.

파라미터변조와 인증·세션관리는 공격자가 입력된 정보를 변조해 본연의 의도와 다르게 동작을 조작하는 해킹형태이다. 게시판의 글 번호를 조작(파라미터 변조)하거나, 로그인 정보를 관리하는 인증·세션 정보를 탈취 및 도용해 비인가된 방식으로 서버에 접근한다.

중요정보 노출은 서버 버전 등이 외부에 노출돼 있어 공격자가 시스템의 핵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등 취약점은 공격자가 웹페이지에 자바스크립트 등 스크립트 코드를 삽입하는 공격으로 이를 통해 정보를 탈취한다.

이외에도 △관리자 페이지 노출 40건 △파일 업·다운로드 취약점 16건 △원격관리서비스 접근통제 미흡 10건 △SQL 인젝션 취약점 9건 △홈페이지 관리자 권한 탈취 5건 △서버 원격접속 비밀번호 절취 1건 △디렉토리 리스팅 취약점 1건 △기타 100건 등 총 11개 유형의 다양한 해킹 방식이 노출됐다.

지난해 44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의테스트에서는 431개의 취약점이 도출됐는데, 4개 기관이 줄어든 이번 테스트에서 취약점이 오히려 26건(6%) 더 발견됐다. 

현재 취약점을 집계 중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연구재단 등의 결과까지 올해 말에 취합한다면 취약점은 약 500여 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 의원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커가 시스템 접근 권한을 획득해 정보 유출을 시도하거나 시스템에 대한 완전한 제어와 중요한 시스템 설정 변경 및 침해가 가능하고, 이처럼 실제 해킹을 당한다면 원자력을 비롯해 항공우주, 나노기술 등 주요 국가정보가 해커들의 손안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부처 해킹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대정부 해킹 시도는 총 6만9982건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는 공무원 650명의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서 파일 해킹 논란이 커지자 지난 17일 해당 사실을 확인했다.

최 의원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중요정보를 담은 공공기관 웹서비스의 취약점이 작년보다 개선되기는커녕, 더 심각해졌다”며 “국가기관도 블랙해커의 내부망 침입 시도, 서버 정보 노출 등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과기부 모의테스트 결과에 따라 발견된 취약점은 화이트 해커가 개선지원반을 운영해 조치·지원하는데, 각 기관별 처리결과 및 향후 계획을 국회에 보고해 이행점검의 투명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