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회장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보건의료 의제 동력 강화에 나선다.
코오롱그룹은 27일 부산에서 개최된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제4차 회의에서 이규호 부회장이 의장으로 활동해 온 바이오헬스케어워킹그룹(BHWG)이 각국 정상들에게 건의할 보건의료 이행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올해 처음 ABAC에 신설된 BHWG의 의장을 맡아 보건의료 분야 논의를 이끌어왔다.
이날 회의는 BHWG 부의장인 테드 창 ABAC위원 겸 콴타컴퓨터 최고기술책임자(CTO)와 스즈키 준 ABAC 일본 위원 겸 데이진 특별고문, 줄리아 토레블랑카 페루 ABAC위원, 모니카 웨일리 미국 APEC센터장, 니콜 부코니치 미국 APEC센터 정책국장 등을 비롯해 다양한 보건의료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회의에선 올해 호주 브리즈번, 캐나다 토론토, 베트남 하이퐁 등에서 열린 세 차례의 ABAC 회의와 지난 9월 APEC 보건과경제고위급회의 등에서 진행된 논의를 마무리하고 ABAC 한국이 주도한 ‘스마트하고 포용적 헬스케어를 위한 이행안’을 승인했다.
앞으로 2년 동안 한국 보건복지부가 의장국으로 활동하는 APEC 헬스케어워킹그룹과 협력에도 나선다.
코오롱그룹은 BHWG에서 △바이오 기술 혁신 가속화 △보건망 연결 △포용적 보건격차 해소 △공공과 민간 사이의 협력관계 등 4대 영역에서 다양한 의제를 설정했고 그동안의 논의 성과를 이행안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의료 접근성 격차, 재정 지속가능성 등 APEC 지역 내 복합적 보건 문제 대응과 관련된 민관 협력안이 포함됐다. 단기(1~3년), 중기(3~7년), 장기(7~15년)에 걸친 구체적 실행 전략은 ABAC 정상 건의문에도 담겨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주요 의제로 논의된다.
또한 APEC 공통의 국제 표준 도입을 기반으로 공적 헬스데이터 공유를 제안했고 유전체 기반 진단과 치료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공동 연구 플랫폼과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자동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비개발자 대상 교육을 확대하고 임상 현장에 인공지능(AI) 도구를 통합함으로써 의료진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도 제시됐다.
공급망 회복력 강화에 필요한 의약품·의료 기기 생산 관련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 기반 장기요양 시스템 확대와 디지털 포용성 강화 바탕 고령화 대응, 치매·자폐·ADHD 등 뇌질환 대응을 위한 재정·인프라·인재·데이터기반 협력모델 등도 다루게 된다.
이규호 부회장은 “이행안을 완성한 뒤 보건정책 입안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APEC 보건의료 의제를 두고 새롭게 형성된 동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코오롱그룹은 27일 부산에서 개최된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제4차 회의에서 이규호 부회장이 의장으로 활동해 온 바이오헬스케어워킹그룹(BHWG)이 각국 정상들에게 건의할 보건의료 이행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회장이 27일 부산에서 개최된 APEC 기업인자문위원회(ABAC) 제4차 회의에서 환영사를 하는 모습. <코오롱>
이 부회장은 올해 처음 ABAC에 신설된 BHWG의 의장을 맡아 보건의료 분야 논의를 이끌어왔다.
이날 회의는 BHWG 부의장인 테드 창 ABAC위원 겸 콴타컴퓨터 최고기술책임자(CTO)와 스즈키 준 ABAC 일본 위원 겸 데이진 특별고문, 줄리아 토레블랑카 페루 ABAC위원, 모니카 웨일리 미국 APEC센터장, 니콜 부코니치 미국 APEC센터 정책국장 등을 비롯해 다양한 보건의료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회의에선 올해 호주 브리즈번, 캐나다 토론토, 베트남 하이퐁 등에서 열린 세 차례의 ABAC 회의와 지난 9월 APEC 보건과경제고위급회의 등에서 진행된 논의를 마무리하고 ABAC 한국이 주도한 ‘스마트하고 포용적 헬스케어를 위한 이행안’을 승인했다.
앞으로 2년 동안 한국 보건복지부가 의장국으로 활동하는 APEC 헬스케어워킹그룹과 협력에도 나선다.
코오롱그룹은 BHWG에서 △바이오 기술 혁신 가속화 △보건망 연결 △포용적 보건격차 해소 △공공과 민간 사이의 협력관계 등 4대 영역에서 다양한 의제를 설정했고 그동안의 논의 성과를 이행안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의료 접근성 격차, 재정 지속가능성 등 APEC 지역 내 복합적 보건 문제 대응과 관련된 민관 협력안이 포함됐다. 단기(1~3년), 중기(3~7년), 장기(7~15년)에 걸친 구체적 실행 전략은 ABAC 정상 건의문에도 담겨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주요 의제로 논의된다.
또한 APEC 공통의 국제 표준 도입을 기반으로 공적 헬스데이터 공유를 제안했고 유전체 기반 진단과 치료 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공동 연구 플랫폼과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자동화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비개발자 대상 교육을 확대하고 임상 현장에 인공지능(AI) 도구를 통합함으로써 의료진 역량을 강화하는 전략도 제시됐다.
공급망 회복력 강화에 필요한 의약품·의료 기기 생산 관련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 기반 장기요양 시스템 확대와 디지털 포용성 강화 바탕 고령화 대응, 치매·자폐·ADHD 등 뇌질환 대응을 위한 재정·인프라·인재·데이터기반 협력모델 등도 다루게 된다.
이규호 부회장은 “이행안을 완성한 뒤 보건정책 입안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APEC 보건의료 의제를 두고 새롭게 형성된 동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