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크래프톤이 올해 3분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낼 것이라는 증권가의 추정이 나왔다.
2일 김혜영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목표주가 50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각각 유지했다. 게임업종 최선호주 의견도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1일 크래프톤 주가는 29만8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크래프톤은 3분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호실적을 낸 것으로 예상된다.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8225억 원, 영업이익은 3530억 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4.3%, 영업이익은 8.8% 각각 늘어난 것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다양한 콜라보를 진행한 PC 부문 매출이 3224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7.6% 유의미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모바일 매출은 4565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3% 증가한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비용은 4695억 원으로 사업 확장에 따라 마케팅비, 지급 수수료가 최근 증가하는 추세다.
김혜영 연구원은 “넵튠은 3분기부터 연결 실적에 편입될 전망”이라며 “넵튠 매출은 분기당 300~350억 원 수준이며 넵튠 인력은 220명이지만 해당 인원은 개발자 500명 채용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크래프톤이 이후 신작 계획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빠르면 11월 지스타, 늦으면 2026년 2월 연간 실적 콘퍼런스 콜에서 신작이 공개될 가능성이 크다”며 “낮아진 신작 가시성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실제로 신작이 없는 게 아니라 공개되지 않은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이어 “매력적인 밸류에이션(기업가치 대비 주가) 구간에서 매수를 추천한다”고 조언했다. 정희경 기자
2일 김혜영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목표주가 50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각각 유지했다. 게임업종 최선호주 의견도 유지했다.
▲ 다올투자증권은 2일 크래프톤 목표주가로 50만 원을 제시했다.
직전 거래일인 1일 크래프톤 주가는 29만8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크래프톤은 3분기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호실적을 낸 것으로 예상된다.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8225억 원, 영업이익은 3530억 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4.3%, 영업이익은 8.8% 각각 늘어난 것이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다양한 콜라보를 진행한 PC 부문 매출이 3224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7.6% 유의미한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모바일 매출은 4565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7.3% 증가한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비용은 4695억 원으로 사업 확장에 따라 마케팅비, 지급 수수료가 최근 증가하는 추세다.
김혜영 연구원은 “넵튠은 3분기부터 연결 실적에 편입될 전망”이라며 “넵튠 매출은 분기당 300~350억 원 수준이며 넵튠 인력은 220명이지만 해당 인원은 개발자 500명 채용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크래프톤이 이후 신작 계획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빠르면 11월 지스타, 늦으면 2026년 2월 연간 실적 콘퍼런스 콜에서 신작이 공개될 가능성이 크다”며 “낮아진 신작 가시성으로 주가가 하락하고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실제로 신작이 없는 게 아니라 공개되지 않은 것”이라고 봤다.
그는 이어 “매력적인 밸류에이션(기업가치 대비 주가) 구간에서 매수를 추천한다”고 조언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