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 조직개편 결과를 반영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이 국무회의에 심의·의결됨에 따라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돼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 분야의 국가 콘트롤타워로 출범한다고 30일 밝혔다.

부총리 직속으로 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국장급)을 신설하고,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하여 범부처 리더십을 강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총리 체제로 출범, 과학기술·인공지능 정책 총괄

▲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부총리급으로 승격해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 정책을 총괄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새로운 회의체는 부총리 총괄·조정 하에 국가적 의제를 기획하고 공유해 전 부처의 노력을 원팀으로 묶는 실질적 협력 플랫폼으로 운영한다.

기존 국 단위였던 인공지능 전담부서인 인공지능기능정책관을 인공지능정책실로 확대·강화한다. 그 아래에는 인공지능정책기획관과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을 둔다.

인공지능정책실은 국가 인공지능 정책을 기획·실행하는 핵심조직으로, 국가 인공지능 생태계를 조성하고 범정부 차원의 인공지능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공지능정책기획관은 인공지능 산업 육성과 안전·신뢰 확보를 위한 국가 인공지능 정책과 법·제도를 설계하고, 인공지능 인재 양성 기능에 담당한다.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은 인공지능컴퓨팅 자원·데이터·클라우드 등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산업·지역의 인공지능 활용 및 전환을 지원한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들과 정책효과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현재 국장급인 대변인 직위를 실장급으로 높인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단순한 정부조직의 변화가 아니라, 과학기술 및 인공지능으로 국민의 삶은 물론 우리 경제·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이끌 국가적 대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 장관은 “새롭게 부여받은 부총리 역할을 무거운 책임감으로 받아들이며, 국민 모두가 인공지능의 혜택을 누리는 인공지능 기본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확실한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