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순직해병 특검팀이 '이종섭 호주대사 도피'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등 주요 피의자를 다음 주 줄소환한다.
순직해병 특검팀의 정민영 특검보는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수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주부터 호주대사 관련 피의자를 본격 조사한다"며 "오는 23일 이노공 전 법무부차관을, 24일 조태열 전 외교부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이 전 차관 소환을 두고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이 (이 전 장관을) 인사 검증할 때 차관 직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조 전 장관을 놓고는 "이 전 장관이 2024년 3월 호주대사 임명·출국·귀국·사임 과정을 관장한 책임자"라며 "특검은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 주요 피의자였던 이종섭이 호주대사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불법행위 의혹 수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두 사람은 범인도피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로 고발돼 있다고 특검팀은 전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달 4일 이 전 차관과 조 전 장관의 사무실과 휴대전화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집행한 바 있다.
이 전 장관은 지난 2023년 7월 해병대 채상병이 순직한 뒤 같은 해 9월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해병대수사단의 사건 이첩 및 회수 과정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됐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에 대해 출국금지를 요청, 조처를 받았으나 외교부는 지난해 3월4일 이 전 장관을 주호주대사로 임명했다.
법무부는 임명 4일 뒤인 8일 이 전 장관에 대한 출국금지를 해제했다. 이후 이 전 장관은 호주로 출국했으나 11일 만에 귀국했고 대사에 임명된 지 25일 만에 사임했다.
이와 관련해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도 오는 22일 오후 1시부터 불러 조사한다. 조성근 기자
순직해병 특검팀의 정민영 특검보는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금까지 수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주부터 호주대사 관련 피의자를 본격 조사한다"며 "오는 23일 이노공 전 법무부차관을, 24일 조태열 전 외교부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밝혔다.

▲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왼쪽)과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연합뉴스>
정 특검보는 이 전 차관 소환을 두고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이 (이 전 장관을) 인사 검증할 때 차관 직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조 전 장관을 놓고는 "이 전 장관이 2024년 3월 호주대사 임명·출국·귀국·사임 과정을 관장한 책임자"라며 "특검은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 주요 피의자였던 이종섭이 호주대사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불법행위 의혹 수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두 사람은 범인도피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로 고발돼 있다고 특검팀은 전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달 4일 이 전 차관과 조 전 장관의 사무실과 휴대전화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집행한 바 있다.
이 전 장관은 지난 2023년 7월 해병대 채상병이 순직한 뒤 같은 해 9월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해병대수사단의 사건 이첩 및 회수 과정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됐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에 대해 출국금지를 요청, 조처를 받았으나 외교부는 지난해 3월4일 이 전 장관을 주호주대사로 임명했다.
법무부는 임명 4일 뒤인 8일 이 전 장관에 대한 출국금지를 해제했다. 이후 이 전 장관은 호주로 출국했으나 11일 만에 귀국했고 대사에 임명된 지 25일 만에 사임했다.
이와 관련해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도 오는 22일 오후 1시부터 불러 조사한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