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산업통상자원부가 범정부 역량을 결집해 국내 해상풍력 가속화를 추진한다.
산업부는 10일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에너지 대전환의 핵심 과제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논의할 목적에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진행된 회의에서는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의 성공적 안착을 돕기 위해 복잡한 인허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 주요 어려움을 해소하고 앞으로 국내 해상풍력의 보급 가속화 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해상풍력은 삼면이 바다인 국내 입지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으로 탄소중립 및 인공지능(AI) 시대를 견인할 주력전원이라고 평가된다.
아직 국내에서 운영하고 있는 해상풍력은 0.35GW(기가와트)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정부는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를 도입한 뒤 4.1GW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이외에도 해상풍력특별법을 마련해 올해 3월 공포하는 등 국내 해상풍력의 본격적 보급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모든 전문가가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고 얘기하고 있다”며 “이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관계부처 모두가 하나가 돼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지원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산업부는 10일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에너지 대전환의 핵심 과제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논의할 목적에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

▲ 산업통상자원부가 범정부 역량을 결집해 국내 해상풍력 가속화를 추진한다.
이날 진행된 회의에서는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의 성공적 안착을 돕기 위해 복잡한 인허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 주요 어려움을 해소하고 앞으로 국내 해상풍력의 보급 가속화 기반을 조성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해상풍력은 삼면이 바다인 국내 입지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으로 탄소중립 및 인공지능(AI) 시대를 견인할 주력전원이라고 평가된다.
아직 국내에서 운영하고 있는 해상풍력은 0.35GW(기가와트)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정부는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를 도입한 뒤 4.1GW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이외에도 해상풍력특별법을 마련해 올해 3월 공포하는 등 국내 해상풍력의 본격적 보급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모든 전문가가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고 얘기하고 있다”며 “이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관계부처 모두가 하나가 돼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지원 등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