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 노사가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을 4.1%로 정하는데 합의했다.
1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날 사내게시판에는 임금인상률을 담은 노사협의회 협의결과가 공지됐다.
평균 임금인상률은 삼성전자 전체 직원에게 지급하는 전체연봉 재원의 증가율로 기본인상률에 개인 고과별 인사률을 더한 것으로 구성된다. 개인별 임금인상 수준은 인사고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삼성전자의 올해 기본인상률은 2%, 성과인상률은 2.1%로 책정됐다.
삼성전자는 애초 1%대의 기본인상률을 제안했으나 직원들의 반발에 따라 인상률을 2%로 높였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평균 임금인상률은 기본인상률 5%와 성과인상률 평균 4%를 더한 9%로 알려져 있다.
올해 임금인상률 협상에서 노사 사이 입장차이가 컸지만 ‘반도체 경기 불황’이 나타나고 있어 합의에 이른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7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6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75% 감소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공시한 바 있다.
전자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실적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부문에서 4조 원 가량의 적자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조장우 기자
1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날 사내게시판에는 임금인상률을 담은 노사협의회 협의결과가 공지됐다.

▲ 삼성전자 노사가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을 4.1%로 정하기로 합의했다. 사진은 삼성전자 본사 앞 로고 모습. <연합뉴스>
평균 임금인상률은 삼성전자 전체 직원에게 지급하는 전체연봉 재원의 증가율로 기본인상률에 개인 고과별 인사률을 더한 것으로 구성된다. 개인별 임금인상 수준은 인사고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삼성전자의 올해 기본인상률은 2%, 성과인상률은 2.1%로 책정됐다.
삼성전자는 애초 1%대의 기본인상률을 제안했으나 직원들의 반발에 따라 인상률을 2%로 높였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평균 임금인상률은 기본인상률 5%와 성과인상률 평균 4%를 더한 9%로 알려져 있다.
올해 임금인상률 협상에서 노사 사이 입장차이가 컸지만 ‘반도체 경기 불황’이 나타나고 있어 합의에 이른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7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6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75% 감소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공시한 바 있다.
전자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실적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부문에서 4조 원 가량의 적자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