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30%대 초반에 머물렀다.
국민 절대 다수는 일본과 관계가 악화되더라도 정부가 일본 역사교과서에 관해 항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꽃이 3일 발표한 정례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평가가 33.2%, 부정평가는 62.7%로 집계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차이는 29.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긍정평가는 지난주 조사(3월28일 발표)보다 0.1%포인트, 부정평가는 0.8%포인트 하락했다. 윤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는 4주 연속 60%대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높았다. 대구·경북에서는 긍정평가가 53.7%로 부정평가(39.6%)를 오차범위 밖으로 앞섰다. 서울과 인천·경기에서는 부정평가가 60%대로 긍정평가의 두 배 이상이었다.
지역별 부정평가는 광주·전라 83.8%, 인천·경기 66.5%, 서울 64.8%, 대전·세종·충청 58.4%, 부산·울산·경남 57.5%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와 70세 이상을 뺀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많았다. 60대와 70세 이상의 긍정평가는 각각 52.7%, 54.7%였다. 18~29세의 부정평가가 지난주보다 2.6%포인트 올라 70%대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 부정평가는 40대 83.0%, 30대 73.1%, 18~29세 70.4%, 50대 63.8% 순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의 부정평가가 70.7%로 여전히 높았다. 보수층의 긍정평가가 66.5%인 반면 진보층에서는 부정평가가 86.5%에 달했다.
독도를 일본 고유영토로 표기한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 논란에 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정부는 일본과의 관계 악화 감수하더라도 강력 대응 필요하다’는 응답이 90.3%였다. ‘일본과 관계 개선을 위해 항의하지 말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은 5.9%에 그쳤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총선 차출론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49.7%가 ‘국민의힘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해 ‘도움이 될 것’(35.0%)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2.1%, 더불어민주당 43.6%로 집계됐다. 두 정당의 지지율 차이는 11.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주보다 0.4%포인트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1.1%포인트 상승했다.
정의당은 3.2%, 무당층은 19.7%였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꽃 자체조사로 3월31일과 4월1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무선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CATI)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3년 2월28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기준 성, 연령대, 권역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
국민 절대 다수는 일본과 관계가 악화되더라도 정부가 일본 역사교과서에 관해 항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꽃] 윤석열 지지율 33.2%, 일본 역사교과서 '항의해야' 90.3%](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304/20230403163201_25749.jpg)
▲ 여론조사 꽃이 4월3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33.2%로 집계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1일 대구 서문시장 인근에서 열린 '서문시장 100주년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론조사 꽃이 3일 발표한 정례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평가가 33.2%, 부정평가는 62.7%로 집계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차이는 29.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긍정평가는 지난주 조사(3월28일 발표)보다 0.1%포인트, 부정평가는 0.8%포인트 하락했다. 윤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는 4주 연속 60%대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높았다. 대구·경북에서는 긍정평가가 53.7%로 부정평가(39.6%)를 오차범위 밖으로 앞섰다. 서울과 인천·경기에서는 부정평가가 60%대로 긍정평가의 두 배 이상이었다.
지역별 부정평가는 광주·전라 83.8%, 인천·경기 66.5%, 서울 64.8%, 대전·세종·충청 58.4%, 부산·울산·경남 57.5%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와 70세 이상을 뺀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많았다. 60대와 70세 이상의 긍정평가는 각각 52.7%, 54.7%였다. 18~29세의 부정평가가 지난주보다 2.6%포인트 올라 70%대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 부정평가는 40대 83.0%, 30대 73.1%, 18~29세 70.4%, 50대 63.8% 순으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의 부정평가가 70.7%로 여전히 높았다. 보수층의 긍정평가가 66.5%인 반면 진보층에서는 부정평가가 86.5%에 달했다.
독도를 일본 고유영토로 표기한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 논란에 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정부는 일본과의 관계 악화 감수하더라도 강력 대응 필요하다’는 응답이 90.3%였다. ‘일본과 관계 개선을 위해 항의하지 말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은 5.9%에 그쳤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총선 차출론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49.7%가 ‘국민의힘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해 ‘도움이 될 것’(35.0%)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2.1%, 더불어민주당 43.6%로 집계됐다. 두 정당의 지지율 차이는 11.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주보다 0.4%포인트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1.1%포인트 상승했다.
정의당은 3.2%, 무당층은 19.7%였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꽃 자체조사로 3월31일과 4월1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무선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CATI)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3년 2월28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기준 성, 연령대, 권역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