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종근당 의약품 판매가 지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일부 품목은 내년 공동판매가 종료돼 향후 실적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동건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일 종근당 목표주가 10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7월29일 종근당 주가는 9만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근당은 2분기 별도기준 매출 3648억 원, 영업이익 281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1.6%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6.5% 감소했다.
매출은 분기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케이캡’, ‘프롤리아’, ‘글리아티린’, ‘아토젯’ 등 주요 의약품의 판매가 골고루 증가했다.
영업이익 감소는 독감 치료제 관련 충당금 반영, 코로나19 확산 후 마케팅 활동 재개에 따른 판매관리비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풀이됐다.
이 연구원은 종근당이 하반기에도 케이캡, 프롤리아 등 주요 품목의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최근 품목허가를 획득한 위염 치료제 ‘지텍’도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케이캡의 경우 2023년 말 HK이노엔과 공동판매 계약이 종료될 것으로 예정됐다. 케이캡은 HK이노엔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이 연구원은 “공동판매 계약이 향후 연장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계약이 연장되면 기존보다 종근당 기준 수익성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며 “지텍을 비롯한 후속 의약품의 성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종근당은 2022년 별도기준 매출 1조4543억 원, 영업이익 1058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실적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9.0%, 12.5% 늘어나는 것이다. 임한솔 기자
이동건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일 종근당 목표주가 10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 신한금융투자는 1일 보고서를 통해 종근당이 하반기 의약품 판매를 지속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직전 거래일인 7월29일 종근당 주가는 9만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근당은 2분기 별도기준 매출 3648억 원, 영업이익 281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1.6%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6.5% 감소했다.
매출은 분기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케이캡’, ‘프롤리아’, ‘글리아티린’, ‘아토젯’ 등 주요 의약품의 판매가 골고루 증가했다.
영업이익 감소는 독감 치료제 관련 충당금 반영, 코로나19 확산 후 마케팅 활동 재개에 따른 판매관리비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풀이됐다.
이 연구원은 종근당이 하반기에도 케이캡, 프롤리아 등 주요 품목의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최근 품목허가를 획득한 위염 치료제 ‘지텍’도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케이캡의 경우 2023년 말 HK이노엔과 공동판매 계약이 종료될 것으로 예정됐다. 케이캡은 HK이노엔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이 연구원은 “공동판매 계약이 향후 연장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계약이 연장되면 기존보다 종근당 기준 수익성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며 “지텍을 비롯한 후속 의약품의 성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바라봤다.
종근당은 2022년 별도기준 매출 1조4543억 원, 영업이익 1058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실적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9.0%, 12.5% 늘어나는 것이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