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택 사전청약 대상을 기존 공공주택만 아니라 공공택지의 민영주택과 공공주택 복합사업 등 2.4대책을 통해 서울 도심에 공급되는 주택까지 확대한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동산 관계장관 합동 담화에서 이렇게 밝혔다.
 
노형욱 "사전청약을 공공택지의 민영주택과 도심공급주택으로 확대"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이 2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부동산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 장관은 "사전청약을 통한 시장안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공공주택 분양에만 적용하고 있는 사전청약을 공공택지 민영주택, 2·4대책 도심공급물량 등에도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노 장관은 "대상 입지와 청약 방식, 사업자 인센티브 등 구체적 확대방안을 이른 시일 내에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사전청약을 통해 부동산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다고 봤다. 

노 장관은 "내년까지 이어지는 6만2천 호의 사전청약 물량은 수도권 연평균 분양물량의 35%에 이르는 만큼 부동산시장 안정의 확실한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3기 신도시와 공공택지의 지구계획도 올해 말까지 확정하겠다고 했다. 

노 장관은 "3기 신도시 등 기존에 발표한 공공택지 지구는 연말까지 모두 24만 호의 지구계획을 확정할 것이다"며 "아직 발표하지 못한 13만 호의 남은 택지도 지방자치단체 협의와 이상거래 조사 등 준비작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8월 안에 구체적 입지와 물량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2.4대책에서 발표한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등 새로운 공급사업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했다. 

노 장관은 "2.4대책을 발표한 뒤 불과 5개월여 만에 도심복합, 공공정비, 주거재생 혁신지구 등의 사업으로 12만6천 호를 공급할 수 있는 도심 후보지를 발굴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도심 복합사업 후보지 52곳 가운데 31곳은 이미 예정지구 지정요건을 갖췄다"며 "직장과 주거의 근접성이 좋은 도심에서 대단위 아파트 공급이 신속히 가시화되도록 11월부터 본 지구 지정과 사업계획 승인을 순차적으로 추진할 것이다“고 말했다. 

서울시와 협력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다시 확인했다.

노 장관은 "일선에서 주택공급을 담당하는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구체적 주택공급 진행상황을 국민들께 공개하겠다“며 ”지난달 서울시와 재건축시장 안정을 위한 도시정비법 개정 등 입법 공조를 강화한 바 있고 공공·민간공급의 조화로운 추진방안도 밀도있게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발표한 공급정책이 추진되면 앞으로 10년 동안 전국 56만 호, 수도권 31만 호, 서울 10만 호가 매년 공급될 수 있다"며 "수도권 31만 호는 압도적 물량으로 시장과열을 진정시킨 분당과 일산 등 1기 신도시 총건설물량 29만 호를 넘어서는 규모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화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고 대규모 주택공급이 차질없이 이뤄지면 주택시장의 하향 안정세는 시장예측보다 더 큰 폭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