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지상파 방송의 부진에 더해 월드컵 중계권료 비용까지 발생하면서 2분기 영업손실을 냈고 과도한 중계권료 여파가 3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SBS 목표주가 낮아져, 월드컵 중계권료 부담 3분기도 지속

▲ 박정훈 SBS 사장.


황성진 현대차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SBS 목표주가를 2만7천 원에서 2만1천 원으로 내렸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SBS 주가는 16일 1만8600원에 장을 마쳤다.

황 연구원은 “SBS 실적이 지상파 방송의 부진 현상과 월드컵 중계권료 부담으로 3분기까지 반등하기 힘들 것”이라며 “다만 판권 판매와 지상파 재전송사업수익이 늘어나고 있어 4분기에는 실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SBS는 2분기에 매출 2610억 원, 영업손실 46억 원을 냈다. 2017년과 비교해 매출은 36.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로 돌아섰다.

월드컵 이벤트 특수에도 방송광고 수익은 2017년보다 3.8% 줄었는데 이에 반해 월드컵 중계권료 부담은 커져 적자를 낸 것으로 파악된다. 

광고시장에서도 디지털 광고가 성장함에 따라 전통매체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당분간 실적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4분기부터는 실적 회복의 여지가 있다.

황 연구원은 “SBS는 월드컵 관련 비용 반영이 3분기에 마무리 될 것”이라며 “중계권료 부담을 해소한 뒤 시청률을 견인할 수 있는 반전의 계기를 찾아야 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SBS는 2018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9295억 원, 영업이익 152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2017년과 비교해 매출은 26.0%, 영업이익은 8.8%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