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기화율을 크게 낮춘 LNG(액화천연가스)화물창을 개발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자체기술력으로 LNG화물창 시스템 솔리더스(SOLIDUS)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기화율 크게 낮춘 새 LNG화물창 시스템 개발

▲ 대우조선해양이 개발한 LNG화물창 시스템 솔리더스 이미지.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 부사장은 “대우조선해양은 세계 최고 수준의 가스선 건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하루에 자연적으로 기화되는 LNG비율이 가장 낮은 화물창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LNG운반선부문의 시장지배력을 높이는 기회를 마련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한 솔리더스는 이중으로 금속방벽을 적용해 안전성을 높인 멤브레인형 화물창이다. 멤브레인은 0.5~1.2mm의 아주 얇은 철판막을 말하는데 LNG를 저장하는 화물창 안 벽에 넓게 접착되는 것을 말한다. 

솔리더스를 LNG운반선에 적용하면 기존에 하루 0.07% 정도의 LNG 증발률을 0.05%대로 줄일 수 있다고 대우조선해양은 설명했다. 이는 17만㎥급 LNG운반선을 운행할 경우 연간 5억 원 정도 LNG를 손실없이 운송할 수 있는 양이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LNG화물창의 일차방벽과 이차방벽의 연결부를 간소화해 비용이 적게 들고 적용되는 부품량도 더 적다”며 “솔리더스를 개발할 때 국내 조선기자재회사 제품을 최대한 활용한 만큼 부품 국산화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12월부터 선주들을 대상으로 솔리더스와 관련된 시연회를 열면서 영업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포스코와 LNG연료탱크를 독자 개발하는 등 LNG와 관련된 대부분 부문에서 자체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운반선 수주잔량을 보유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