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전지부문에서 흑자기조를 굳힐 것으로 예상됐다.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LG화학이 하반기로 갈수록 전지부문에서 실적을 개선할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라며 “에너지저장장치와 소형전지, 전기차배터리 등 모든 전지부문사업에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
에너지저장장치는 2, 3분기에 계절적으로 판매성수기를 맞는다.
LG화학은 애플과 LG전자 등에 소형전지를 공급하고 있다. 애플이 올해 하반기 아이폰8을, LG전자가 V30을 출시하겠다는 방침을 세우면서 LG화학의 소형전지 판매도 늘어날 것으로 황 연구원은 바라봤다.
전기차배터리부문은 유럽 전기차시장의 성장세에 힘입어 매출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LG화학은 올해 전기차배터리사업에서 1조7천억 원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40% 늘어난 것이다.
LG화학의 전지부문은 전기차배터리사업에 힘입어 성장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됐다.
박연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유럽과 중국의 전기차시장이 커지면서 전 세계 완성차회사들이 전기차를 개발하는 데 가속을 붙이고 있다”며 “대형 완성차회사에 전기차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드문 데 따라 LG화학이 전기차배터리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럽 일부국가들이 2025년 이후 내연기관차의 판매를 금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다 중국정부가 전기차의무생산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예고하면서 전 세계 전기차시장은 앞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테슬라가 전기차 모델3를 출시하는 점도 전기차 대중화에 불을 당길 것으로 업계는 바라본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