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4일부터 ‘순수(Pure-play) 위탁개발생산(CDMO)’ 체제로 전환을 앞뒀다.
23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회사는 24일 변경상장을 통해 투자 및 자회사 관리 사업부문을 분할해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하기 위한 인적분할 절차를 최종 완료한다.
이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월22일 발표한 인적분할 절차를 5개월여 만에 마무리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은 회사 분할로 10월30일부터 21일까지 거래가 정지됐다. 24일부터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으로 분할돼 각각 변경상장 및 재상장 예정이다.
이번 분할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핵심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됐다. 그동안 일부 고객사에서 제기된 이해상충 우려도 사실상 해소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 생산 능력 확충, 포트폴리오 다변화, 글로벌 거점 확대 등 ‘3대 축 성장 전략’을 중심으로 CDMO 역량 강화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증권업계에서도이번 분할이 기업가치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이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가치는 분할 기준 가치 대비 71%의 상승여력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분할을 통해 CDMO 사업의 가치가 더 선명해지고 글로벌 경쟁력도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희경 기자
23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회사는 24일 변경상장을 통해 투자 및 자회사 관리 사업부문을 분할해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하기 위한 인적분할 절차를 최종 완료한다.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4일 순수 CDMO 기업으로 증시에 재상장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이로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월22일 발표한 인적분할 절차를 5개월여 만에 마무리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은 회사 분할로 10월30일부터 21일까지 거래가 정지됐다. 24일부터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으로 분할돼 각각 변경상장 및 재상장 예정이다.
이번 분할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핵심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됐다. 그동안 일부 고객사에서 제기된 이해상충 우려도 사실상 해소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 생산 능력 확충, 포트폴리오 다변화, 글로벌 거점 확대 등 ‘3대 축 성장 전략’을 중심으로 CDMO 역량 강화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증권업계에서도이번 분할이 기업가치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이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가치는 분할 기준 가치 대비 71%의 상승여력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분할을 통해 CDMO 사업의 가치가 더 선명해지고 글로벌 경쟁력도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