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아시아나항공이 화물기 사업 분할 매각 등의 영향으로 3분기 영업손실을 봤다.
아시아나항공은 3분기 별도기준 영업손실 1757억 원, 순손실 3043억 을 냈다고 13일 밝혔다. 1년 전과 비교해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적자 전환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1289억 원, 순이익 1431억 원을 냈다.
3분기 매출도 1조4643억 원을 올려 지난해 3분기보다 22.6% 줄었다.
아시아나항공의 3분기 매출 감소는 화물기 사업 분할 매각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3분기 화물 매출은 144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6.0% 감소했다.
여객사업 매출은 성수기 진입에 맞춰 주요 장거리 노선 공급을 늘렸지만 미국 등 일부 노선의 수요 위축과 시장 공급 경쟁 심화로 전년 대비 9% 줄어든 1조1555억 원을 기록했다.
통상임금 변경에 따른 퇴직급여 충당부채 증가분 반영, 조업료 소급 인상분 지금 등 일회성 영업비용이 발생한 점도 영업손실을 내는 데 영향을 미쳤다.
아시아나항공은 “4분기에는 호주 시드니, 멜버른 등 동계 성수기 지역 공급을 확대하고 한국 중국 간 무비자 방문 수요를 적극 유치할 것”이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태국 푸껫 노선에 마일리지 전용기를 운항하는 등 고객 편의를 증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
아시아나항공은 3분기 별도기준 영업손실 1757억 원, 순손실 3043억 을 냈다고 13일 밝혔다. 1년 전과 비교해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적자 전환했다.
▲ 아시아나항공이 13일 올해 3분기 영업손실 175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1289억 원, 순이익 1431억 원을 냈다.
3분기 매출도 1조4643억 원을 올려 지난해 3분기보다 22.6% 줄었다.
아시아나항공의 3분기 매출 감소는 화물기 사업 분할 매각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3분기 화물 매출은 144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6.0% 감소했다.
여객사업 매출은 성수기 진입에 맞춰 주요 장거리 노선 공급을 늘렸지만 미국 등 일부 노선의 수요 위축과 시장 공급 경쟁 심화로 전년 대비 9% 줄어든 1조1555억 원을 기록했다.
통상임금 변경에 따른 퇴직급여 충당부채 증가분 반영, 조업료 소급 인상분 지금 등 일회성 영업비용이 발생한 점도 영업손실을 내는 데 영향을 미쳤다.
아시아나항공은 “4분기에는 호주 시드니, 멜버른 등 동계 성수기 지역 공급을 확대하고 한국 중국 간 무비자 방문 수요를 적극 유치할 것”이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태국 푸껫 노선에 마일리지 전용기를 운항하는 등 고객 편의를 증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