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제2금융권 대출이 늘어나며 10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13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10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2025년 10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한 달 전보다 4조8천억 원 증가했다.
9월(1조1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제2금융권 대출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10월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분양사업장이 증가하면서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이 3조2천억 원 증가했다. 은행권에서 2조1천억 원, 제2금융권에서 1조1천억 원이 늘었다.
주담대 증가세는 9월(3조5천억 원)보다 둔화했다.
기타대출은 1조6천억 원이 늘었다. 9월(2조4천억 원 감소)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신용대출이 1조6천억 원 감소에서 9천억 원 증가로 전환된 영향으로 풀이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천억 원 증가했다. 증가폭이 전월(1조9천억 원)보다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10월 1조1천억 원 늘었다. 9월 증가폭 1조4천억 원에서 둔화했다.
정책성대출 증가폭도 9천억 원으로 9월 1조 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10월 기타대출은 1조 4천억 원 늘었다. 9월 5천억 원 감소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와 10.15 부동산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등이 맞물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3천억 원 증가했다. 9월(8천억 원 감소)과 비교해 증가세로 전환했다.
보험에서 1천억 원,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에서 2천억 원 늘어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상호금융권은 1조1천억 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저축은행은 2천억 원으로 감소폭이 축소됐다.
금융위원회는 “10월 가계대출이 9월보다 증가했으나 가계대출이 부동산 미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고 평가했다.
이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이 시차를 두고 11~12월 증가할 수 있다”며 “가계대출의 변동성이 언제든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증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신진창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은행권 사업자대출 용도의 유용 실태 점검시 위반 사례가 45건 이상 발생했는데 제2금융권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특히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도 중앙회 차원에서 개별 금고의 사업자대출 취급 실태를 철저히 점검해달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제2금융권 현장점검을 이번 달 안으로 마무리하고 위반 차주에 대해서는 대출 회수 등 관련 조치를 연내 실시한다.
행정안전부는 중앙회 차원에서 올해 7월까지 취급된 새마을금고 사업자대출 2897건을 자체 점검해 용도 외 유용 사례를 적발했으며 8월 이후 취급된 대출에 대해서도 규제 우회 여부를 철저히 점검 및 조치할 방침을 세웠다. 전해리 기자
13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10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2025년 10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한 달 전보다 4조8천억 원 증가했다.
▲ 10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4조8천억 원 증가했다. <금융위원회>
9월(1조1천억 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제2금융권 대출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10월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분양사업장이 증가하면서 집단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이 3조2천억 원 증가했다. 은행권에서 2조1천억 원, 제2금융권에서 1조1천억 원이 늘었다.
주담대 증가세는 9월(3조5천억 원)보다 둔화했다.
기타대출은 1조6천억 원이 늘었다. 9월(2조4천억 원 감소)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신용대출이 1조6천억 원 감소에서 9천억 원 증가로 전환된 영향으로 풀이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천억 원 증가했다. 증가폭이 전월(1조9천억 원)보다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10월 1조1천억 원 늘었다. 9월 증가폭 1조4천억 원에서 둔화했다.
정책성대출 증가폭도 9천억 원으로 9월 1조 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10월 기타대출은 1조 4천억 원 늘었다. 9월 5천억 원 감소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와 10.15 부동산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등이 맞물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3천억 원 증가했다. 9월(8천억 원 감소)과 비교해 증가세로 전환했다.
보험에서 1천억 원,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에서 2천억 원 늘어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상호금융권은 1조1천억 원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저축은행은 2천억 원으로 감소폭이 축소됐다.
금융위원회는 “10월 가계대출이 9월보다 증가했으나 가계대출이 부동산 미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고 평가했다.
이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이 시차를 두고 11~12월 증가할 수 있다”며 “가계대출의 변동성이 언제든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경각심을 가지고 증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신진창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은행권 사업자대출 용도의 유용 실태 점검시 위반 사례가 45건 이상 발생했는데 제2금융권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있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특히 새마을금고에 대해서도 중앙회 차원에서 개별 금고의 사업자대출 취급 실태를 철저히 점검해달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제2금융권 현장점검을 이번 달 안으로 마무리하고 위반 차주에 대해서는 대출 회수 등 관련 조치를 연내 실시한다.
행정안전부는 중앙회 차원에서 올해 7월까지 취급된 새마을금고 사업자대출 2897건을 자체 점검해 용도 외 유용 사례를 적발했으며 8월 이후 취급된 대출에 대해서도 규제 우회 여부를 철저히 점검 및 조치할 방침을 세웠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