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신세계의 3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교보증권은 10일 신세계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를 23만 원으로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7일 기준 주가는 19만2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세계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6.2% 늘어난 1조6361억 원, 영업이익은 7.3% 증가한 998억 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3분기 백화점 순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1% 증가한 6227억 원, 영업이익은 4.9% 감소한 840억 원을 기록했다. 자산가치 상승에 따른 소비 심리 개선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외국인 매출은 방한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56% 증가하며 매출 비중은 전년대비 1.1%p 상승한 5.1%를 기록했다.
장민지 교보증권 연구원은 “다만 패션 부문의 낮은 성장률 및 감가상각비 증가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3분기 면세점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4.2% 늘어난 5388억 원, 영업적자 –56억 원을 기록했다. 인천공항 PAX 증가에 따른 임차료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 폭이 확대됐다. 다만 이를 제외할 경우, 개별여행객(FIT) 매출 비중이 전년 동기대비 8%p 늘어난 46%로 상승하는 동시에 할인율이 축소되는 등 수익성 개선 여력이 확인되고 있다.
프리미엄 객실 판매 확대 등에 따라 메리어트 호텔이 호실적을 기록하며 센트럴시티 수익성을 견인했다. 2026년 1월 인터내셔날은 자주 사업부문을 신세계까사에 양도할 예정으로, 해당 거래에 따른 영업손익 영향은 없다.
인터내셔날은 핵심 사업인 패션·코스메틱 부문에 역량을 집중하고, 신세계까사는 리빙·소품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함에 따라 각사의 시너지 창출이 기대된다.
백화점은 감가상각비 증가로 수익성이 일시 둔화됐으나 이는 예정된 요인으로, 리뉴얼 효과에 따른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국면에 진입했다.
10월 본점 에르메스·대전점 루이비통 오픈에 이어 11월 말 본점 루이비통 추가 오픈이 예정되어 있으며, 패션 매출이 전년대비 +9% 증가를 기록하는 등 고마진 상품부문의 회복세가 확인되고 있다.
외국인 매출 또한 3분기 기준 전년대비 +56% 증가를 기록하며 인바운드 증가에 따른 수혜가 가시화되고 있다.
면세점은 DF2 권역 정리 효과로 2026년 흑자전환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장민지 연구원은 “백화점 리뉴얼에 따른 매출 성장과 면세 부문 구조조정 효과가 신세계의 중장기 실적 모멘텀을 견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세계의 2025년 총매출액은 전년대비 4.3% 늘어난 11조9931억 원, 영업이익은 3.2% 줄어든 4618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
교보증권은 10일 신세계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를 23만 원으로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7일 기준 주가는 19만2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 신세계의 2026년 총매출액은 11조8611억 원, 영업이익은 5222억 원으로 추정된다. <신세계>
신세계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6.2% 늘어난 1조6361억 원, 영업이익은 7.3% 증가한 998억 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3분기 백화점 순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1% 증가한 6227억 원, 영업이익은 4.9% 감소한 840억 원을 기록했다. 자산가치 상승에 따른 소비 심리 개선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외국인 매출은 방한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56% 증가하며 매출 비중은 전년대비 1.1%p 상승한 5.1%를 기록했다.
장민지 교보증권 연구원은 “다만 패션 부문의 낮은 성장률 및 감가상각비 증가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3분기 면세점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4.2% 늘어난 5388억 원, 영업적자 –56억 원을 기록했다. 인천공항 PAX 증가에 따른 임차료 상승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 폭이 확대됐다. 다만 이를 제외할 경우, 개별여행객(FIT) 매출 비중이 전년 동기대비 8%p 늘어난 46%로 상승하는 동시에 할인율이 축소되는 등 수익성 개선 여력이 확인되고 있다.
프리미엄 객실 판매 확대 등에 따라 메리어트 호텔이 호실적을 기록하며 센트럴시티 수익성을 견인했다. 2026년 1월 인터내셔날은 자주 사업부문을 신세계까사에 양도할 예정으로, 해당 거래에 따른 영업손익 영향은 없다.
인터내셔날은 핵심 사업인 패션·코스메틱 부문에 역량을 집중하고, 신세계까사는 리빙·소품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함에 따라 각사의 시너지 창출이 기대된다.
백화점은 감가상각비 증가로 수익성이 일시 둔화됐으나 이는 예정된 요인으로, 리뉴얼 효과에 따른 매출 성장이 기대되는 국면에 진입했다.
10월 본점 에르메스·대전점 루이비통 오픈에 이어 11월 말 본점 루이비통 추가 오픈이 예정되어 있으며, 패션 매출이 전년대비 +9% 증가를 기록하는 등 고마진 상품부문의 회복세가 확인되고 있다.
외국인 매출 또한 3분기 기준 전년대비 +56% 증가를 기록하며 인바운드 증가에 따른 수혜가 가시화되고 있다.
면세점은 DF2 권역 정리 효과로 2026년 흑자전환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장민지 연구원은 “백화점 리뉴얼에 따른 매출 성장과 면세 부문 구조조정 효과가 신세계의 중장기 실적 모멘텀을 견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세계의 2025년 총매출액은 전년대비 4.3% 늘어난 11조9931억 원, 영업이익은 3.2% 줄어든 4618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