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이 주력사업에서 원가경쟁력을 확보해 지난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영업이익 1조 원을 냈다.
효성은 지난해 매출 11조9291억 원, 영업이익 1조163억 원을 냈다고 2일 밝혔다. 2015년과 비교해 매출은 4.2%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7% 늘었다.
![]() |
||
▲ 조현준 효성 회장. |
타이어코드사업을 하는 산업자재부문이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산업자재부문은 지난해 매출 2조3839억 원, 영업이익 2186억 원을 냈다. 2015년과 비교해 매출은 비슷하지만 영업이익은 48.7% 늘었다.
타이어코드는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는 섬유보강재다. 효성은 원재료가격이 상승했는데도 원가경쟁력을 확보하는 노력을 통해 수익성을 확대할 수 있었다.
산업자재부문의 영업이익률은 2015년 6.2%에서 지난해 9.2%까지 늘었다.
화학과 중공업부문도 실적이 증가했다.
화학부문은 지난해 매출 1조1943억 원, 영업이익 1471억 원을 내 2015년보다 각각 11.8%, 46.1% 늘었다.
중공업부문은 지난해 매출 2조5574억 원, 영업이익 1890억 원을 냈다. 2015년과 비교해 매출은 2.6%, 영업이익은 24.2% 증가했다.
효성은 “화학부문은 공장증설로 원재료의 수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원가경쟁력을 개선했다”며 “중공업부문도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신규수주를 늘렸다”고 말했다.
주력사업 가운데 하나인 섬유부문은 부진했다.
스판덱스사업을 하는 섬유부문은 지난해 매출 1조9791억 원, 영업이익 3116억 원을 냈다. 2015년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 26.9% 줄었다.
글로벌 스판덱스 공급이 늘어나면서 판매가격이 하락해 수익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