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437억 원, 영업손실 343억 원, 순손실 245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32% 줄고, 영업손실 폭은 8.2% 확대됐다. 순손익은 적자 전환했다.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로 인한 판매량 감소로 실적 부진이 이어졌다.
회사 측은 “주요 전기차 공급망 판매 둔화와 그에 따른 가동률 회복 지연으로 실적 하락세가 지속됐다”며 “내년에는 인공지능(AI)용 고부가 회로박,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실적이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AI용 회로박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고객사와 협업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생산 능력을 구축하고 있다.
또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ESS 용도별 맞춤형 제품으로 공급망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한다.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이사는 “AI용 고부가 회로박, ESS용 전지박 등 제품 다변화를 통해 시장의 불확실성에 신속히 대응하고 미래 성장 기회를 빠르게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32% 줄고, 영업손실 폭은 8.2% 확대됐다. 순손익은 적자 전환했다.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2025년 3분기 매출 1437억 원, 영업손실 343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로 인한 판매량 감소로 실적 부진이 이어졌다.
회사 측은 “주요 전기차 공급망 판매 둔화와 그에 따른 가동률 회복 지연으로 실적 하락세가 지속됐다”며 “내년에는 인공지능(AI)용 고부가 회로박,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실적이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AI용 회로박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고객사와 협업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생산 능력을 구축하고 있다.
또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ESS 용도별 맞춤형 제품으로 공급망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한다.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이사는 “AI용 고부가 회로박, ESS용 전지박 등 제품 다변화를 통해 시장의 불확실성에 신속히 대응하고 미래 성장 기회를 빠르게 선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