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서울 여의도 IFC 인수 보증금 반환을 미루고 있는 브룩필드자산운용에 법적대응을 예고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9일 싱가포르국제중재센터(SIAC)의 최종 판정에 따른 계약금 반환 판정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브룩필드자산운용을 대상으로 법적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브룩필드자산운용은 2025년 10월28일까지 IFC 인수 관련 계약금 2천억 원과 지연이자 및 중재 관련 비용 일체를 배상하라는 국제 중재 판정을 받았다”며 “하지만 기한이 경과한 현재까지 단 한 차례의 이행조치나 공식 입장 표명이 없는 점에 깊은 유감을 전달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브룩필드자산운용은 중재 판정이 완전히 이행될 때까지 매일 누적되는 지연 이자와 추가 손해배상 책임을 전적으로 감당해야 한다”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제법과 관련된 규정에 따라 현재 후속 법적절차에 착수할 준비를 완료했고 국내외에서 중재 판정의 승인, 집행 및 가압류 등 모든 법적절차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앞서 2021년 여의도 IFC 인수전에 참여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매도자인 브룩필드자산운용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보증금 2천억 원을 납입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수대금 4조1천억 원 가운데 7천억 원을 리츠로 조달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는데 국토교통부가 리츠 인가를 불허하면서 브룩필드자산운용과 협상이 최종적으로 결렬됐다.
그 뒤 브룩필드자산운용은 계약 이행을 못한 책임을 물어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납부한 계약금을 몰취했다. 이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2년 싱가포르국제중재센터에 중재를 신청했다.
싱가포르국제중재센터는 2025년 10월13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주장을 인용해 브룩필드자산운용에 계약금 2천억 원을 반환하고 지연이자 및 중재 관련 비용 일체를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제 중재 판정은 국제사회가 합의한 법적 구속력을 지닌 최종적 절차”라며 “이번 사안을 국제사회와 투자자에 투명하게 공유해 법적판정을 경시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가 선례로 남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9일 싱가포르국제중재센터(SIAC)의 최종 판정에 따른 계약금 반환 판정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브룩필드자산운용을 대상으로 법적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서울 여의도 IFC 인수 보증금 반환을 미루고 있는 브룩필드자산운용를 대상으로 법적절차 준비에 돌입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브룩필드자산운용은 2025년 10월28일까지 IFC 인수 관련 계약금 2천억 원과 지연이자 및 중재 관련 비용 일체를 배상하라는 국제 중재 판정을 받았다”며 “하지만 기한이 경과한 현재까지 단 한 차례의 이행조치나 공식 입장 표명이 없는 점에 깊은 유감을 전달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브룩필드자산운용은 중재 판정이 완전히 이행될 때까지 매일 누적되는 지연 이자와 추가 손해배상 책임을 전적으로 감당해야 한다”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제법과 관련된 규정에 따라 현재 후속 법적절차에 착수할 준비를 완료했고 국내외에서 중재 판정의 승인, 집행 및 가압류 등 모든 법적절차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앞서 2021년 여의도 IFC 인수전에 참여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매도자인 브룩필드자산운용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보증금 2천억 원을 납입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수대금 4조1천억 원 가운데 7천억 원을 리츠로 조달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는데 국토교통부가 리츠 인가를 불허하면서 브룩필드자산운용과 협상이 최종적으로 결렬됐다.
그 뒤 브룩필드자산운용은 계약 이행을 못한 책임을 물어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납부한 계약금을 몰취했다. 이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2년 싱가포르국제중재센터에 중재를 신청했다.
싱가포르국제중재센터는 2025년 10월13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주장을 인용해 브룩필드자산운용에 계약금 2천억 원을 반환하고 지연이자 및 중재 관련 비용 일체를 배상하라고 명령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제 중재 판정은 국제사회가 합의한 법적 구속력을 지닌 최종적 절차”라며 “이번 사안을 국제사회와 투자자에 투명하게 공유해 법적판정을 경시하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가 선례로 남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