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됐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27일 “미국 연준이 10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3.75~4.00%로 인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고용시장 지표 확인 지연에도 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 등이 상존하고 있어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10월 FOMC 회의는 현지시각으로 29일 예정됐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4.00~4.25%다.
이번에 0.25%포인트 추가 인하하면 9월 FOMC에 이어 두 번 연속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이다.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예상하는 배경에는 수요와 고용 둔화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안 연구원은 “소비자물가가 3%대로 반등하는 가운데 근원물가는 둔화하고 있다”며 “이는 대부분 주거비 등 서비스업 물가 둔화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면 미국 수요가 완만히 둔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최근 나타난 미국 고용 둔화 흐름도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10월 FOMC 회의에는 미중 무역갈등 관련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안 연구원은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이 재부각되고 있다”면서도 “이로 인한 물가 상방 리스크 보다는 수요 둔화 우려가 좀 더 높은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더 나아가 미중 무역갈등 속에 협상 결렬이라는 최악의 상황이 예상되지는 않는다는 점 또한 금리 인하 결정을 유보시킬만한 외부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도 0.25%포인트 인하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날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10월 FOMC에서 미국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것이란 전망 비중은 96.7%다.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은 3.3%에 그친다. 조혜경 기자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27일 “미국 연준이 10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3.75~4.00%로 인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고용시장 지표 확인 지연에도 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 등이 상존하고 있어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3월19일 FOMC 회의 뒤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10월 FOMC 회의는 현지시각으로 29일 예정됐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4.00~4.25%다.
이번에 0.25%포인트 추가 인하하면 9월 FOMC에 이어 두 번 연속 기준금리를 내리는 것이다.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예상하는 배경에는 수요와 고용 둔화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안 연구원은 “소비자물가가 3%대로 반등하는 가운데 근원물가는 둔화하고 있다”며 “이는 대부분 주거비 등 서비스업 물가 둔화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면 미국 수요가 완만히 둔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최근 나타난 미국 고용 둔화 흐름도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10월 FOMC 회의에는 미중 무역갈등 관련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안 연구원은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이 재부각되고 있다”면서도 “이로 인한 물가 상방 리스크 보다는 수요 둔화 우려가 좀 더 높은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더 나아가 미중 무역갈등 속에 협상 결렬이라는 최악의 상황이 예상되지는 않는다는 점 또한 금리 인하 결정을 유보시킬만한 외부 요인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도 0.25%포인트 인하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날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10월 FOMC에서 미국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것이란 전망 비중은 96.7%다.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은 3.3%에 그친다. 조혜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