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AI 기반 자율제조 기술 도입, 2027년까지 생산성 30% 향상 목표

▲ 에코프로는 최근 'AI 자율제조 국책과제 2년차도 워크숍'에 참석해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가속화로 2027년까지 생산성을 30% 높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사진은 워크숍에 참석한 관계자들의 기념촬영 이미지. <에코프로>

[비즈니스포스트] 에코프로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품질 예측과 실시간 데이터 수집 기술로 2027년까지 생산성을 30%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에코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KOTMI), 디엘정보기술, 미소정보기술, 충북테크노파크 등이 참석한 'AI 자율제조 국책과제 2년차도 워크숍'을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산업통산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지난해부터 이어온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의 실적을 공유하고 2년차도 추진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에코프로는 “AI를 그룹 내 제조 공정과 생산성 향상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라며 “1년차도 연구를 통해 소성로 품질 예측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했고, 약 87%에 이르는 예측 정확도를 갖춘 AI 모델링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2년차도에는 설비와 로봇 자율제어, AI 기반 품질 예측,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분석 플랫폼 구축 등을 현장에 적용해 2027년까지 업무 생산성을 30% 향상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품질 예측 AI 모델링은 정확도를 90%까지 끌어올릴 계획을 세웠다.

양극소재 생산을 담당하는 에코프로비엠은 실시간으로 원료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근적외선(NIR) 센서와 고온·분진 환경에서 업무를 대신할 자율이동로봇(AMR) 도입, 도가니 추적 시스템 등 스마트 설비를 현장에 적용한다.

에코프로는 생산관리시스템과 설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레이크(가공되지 않은 데이터 저장소)’를 구축해 제조 현장의 모든 데이터를 AI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이수호 에코프로 AI혁신실장은 “AI 자율제조의 청사진과 세부 과제의 진행방향을 점검하고 그룹 AI 기반 공정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실질적 실행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AI와 데이터 기반의 제조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