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태광그룹은 섬유·화학 부문 계열사인 대한화섬이 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고기능 친환경 폴리에스터 원사를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대한화섬은 1963년 설립된 이후 폴리에스터 원사와 복합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해해당 원사는 친환경 인조가죽용 소재로 쓰이며, 천연 스웨이드와 비슷한 질감을 지녔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제조 과정에서 ‘복합 방사’ 방식을 적용해 품질안정성도 높였다. 복합 방사는 이종의 고분자 화합물(폴리머)을 동시에 방사해 원사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대한화섬은 복합 방사 방식으로 해도사, PN분할사, 잠재권축사, LM 등의 소재도 생산하고 있다.
이번에 상용화한 원사는 최근 출시된 국내 완성차 브랜드의 신규 차종에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회사는 일반 페트(PET) 병을 재활용한 리사이클 소재도 자동차 내장재에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글로벌 현지 생산 거점에서 친환경 소재 확대 적용을 위한 연구 개발 협력사로 함께 한다. 신재희 기자
대한화섬은 1963년 설립된 이후 폴리에스터 원사와 복합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 대한화섬이 식물성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폴리에스터 원사를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상용화했다. 사진은 대한화섬의 공장에서 폴리에스터 원사를 생산하는 모습. <대한화섬>
해해당 원사는 친환경 인조가죽용 소재로 쓰이며, 천연 스웨이드와 비슷한 질감을 지녔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제조 과정에서 ‘복합 방사’ 방식을 적용해 품질안정성도 높였다. 복합 방사는 이종의 고분자 화합물(폴리머)을 동시에 방사해 원사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대한화섬은 복합 방사 방식으로 해도사, PN분할사, 잠재권축사, LM 등의 소재도 생산하고 있다.
이번에 상용화한 원사는 최근 출시된 국내 완성차 브랜드의 신규 차종에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회사는 일반 페트(PET) 병을 재활용한 리사이클 소재도 자동차 내장재에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글로벌 현지 생산 거점에서 친환경 소재 확대 적용을 위한 연구 개발 협력사로 함께 한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