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6일 ‘한국형수직발사체계(KLVS-II)’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발에는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함께 참여했다. 방사청은 2020년 민관협력 개발모델의 정립을 위해 KLVS-II 개발사업을 정부기관 주관에서 민간업체 주관으로 변경했다.
방사청은 개발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국과연은 민간업체가 확보하기 어려운 시험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기품원은 품질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담인원을 배치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민관의 협력을 통해 개발기간 연장이나 비용증가 없이 당초 방사청이 계획한대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KLVS-II는 갈수록 대형화하고 있는 신형 유도무기(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본 발사체계보다 더 강한 화염도 처리할 수 있다.
유도무기 연동 표준화 설계가 적용돼 하나의 발사관에서 여러 종류의 무장 운용이 가능하다.
작전 상황에 맞춰 함대지, 함대함, 함대공 무장을 유연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 발사관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발사관은 독립적으로 작동돼 작전수행에 문제가 없도록 이중화 설계도 적용됐다.
KLVS-II는 올해 말 전력화를 앞둔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에 우선 탑재된다. 향후 건조될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에도 장착된다.
김동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S사업부장은 “방사청, 국과연, 기품원 등 정부기관의 지원과 유기적 협력이 있었기에 첫 업체 주관 개발사업이 성공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해 대한민국의 자주국방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이번 개발에는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함께 참여했다. 방사청은 2020년 민관협력 개발모델의 정립을 위해 KLVS-II 개발사업을 정부기관 주관에서 민간업체 주관으로 변경했다.

▲ 25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2사업장에서 KLVS-II 체계개발 종결식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방사청은 개발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국과연은 민간업체가 확보하기 어려운 시험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기품원은 품질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담인원을 배치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민관의 협력을 통해 개발기간 연장이나 비용증가 없이 당초 방사청이 계획한대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KLVS-II는 갈수록 대형화하고 있는 신형 유도무기(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본 발사체계보다 더 강한 화염도 처리할 수 있다.
유도무기 연동 표준화 설계가 적용돼 하나의 발사관에서 여러 종류의 무장 운용이 가능하다.
작전 상황에 맞춰 함대지, 함대함, 함대공 무장을 유연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 발사관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발사관은 독립적으로 작동돼 작전수행에 문제가 없도록 이중화 설계도 적용됐다.
KLVS-II는 올해 말 전력화를 앞둔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에 우선 탑재된다. 향후 건조될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에도 장착된다.
김동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S사업부장은 “방사청, 국과연, 기품원 등 정부기관의 지원과 유기적 협력이 있었기에 첫 업체 주관 개발사업이 성공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해 대한민국의 자주국방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