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이 50%대 후반으로 하락했다.
한국갤럽이 12일 발표한 이재명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서 긍정평가가 58%, 부정평가는 34%로 집계됐다. '의견 유보'는 8%였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차이는 2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긍정평가는 1주 전 조사보다 5%포인트 떨어진 반면 부정평가는 6%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우세했다. 보수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은 긍정평가와 부정평가가 42%로 같았다. 부산·울산·경남도 긍정평가(48%)와 부정평가(45%)가 오차범위 안이었다.
다른 지역별 긍정평가는 광주·전라 83%, 인천·경기 62%, 서울 61%, 부산·울산·경남 57%, 대전·세종·충청 54% 등이었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더 높았다. 70세 이상은 긍정평가가 47%, 부정평가 42%였다.
다른 연령별 긍정평가는 40대 73%, 50대 67%, 30대 58%, 60대 55%, 18~29세 45% 등이었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의 긍정평가가 61%로 1주 전 조사보다 4%포인트 낮아졌다. 보수층은 부정평가가 59%였던 반면 진보층은 긍정평가가 87%에 달했다. 다만 진보층의 긍정평가도 지난주보다 4%포인트 줄었다.
이번 조사의 이념성향별 응답 인원은 보수 301명, 중도 343명, 진보 244명으로 보수가 진보보다 57명 더 많았다. '모름·응답 거절'은 114명이었다.
이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평가 이유를 물었더니 '경제·민생'이 1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외교’가 12%, ‘소통’과 '전반적으로 잘한다' 각각 7%, '추진력·실행력·속도감' 6%, '직무 능력·유능함' 5%, ‘전 정부 극복’, ‘여야 협치/통합’, ‘열심히 한다/노력한다’가 각각 4%였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가 22%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과도한 복지·민생지원금' 7%, '경제·민생', '독재·독단', ‘정치보복’이 각각 6%, ‘도덕성 문제/자격미달’이 5%였다.
한국갤럽은 “부정 평가 이유에서 '외교'가 다시 최상위로 부상했는데 이는 지난 주말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공장에서 일하던 한국인 노동자 300여 명이 불법체류 혐의로 체포·구금된 사건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 자체조사로 9일부터 1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5년 6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성·연령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
한국갤럽이 12일 발표한 이재명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서 긍정평가가 58%, 부정평가는 34%로 집계됐다. '의견 유보'는 8%였다.
![[한국갤럽] '미국 조지아주 구금 여파' 이재명 지지율 58%로 하락, 부정평가 1위 '외교' 22%](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9/20250912103025_27411.jpg)
▲ 한국갤럽이 12일 발표한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서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이 58%로 집계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와 통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차이는 25%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긍정평가는 1주 전 조사보다 5%포인트 떨어진 반면 부정평가는 6%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우세했다. 보수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은 긍정평가와 부정평가가 42%로 같았다. 부산·울산·경남도 긍정평가(48%)와 부정평가(45%)가 오차범위 안이었다.
다른 지역별 긍정평가는 광주·전라 83%, 인천·경기 62%, 서울 61%, 부산·울산·경남 57%, 대전·세종·충청 54% 등이었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연령층에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더 높았다. 70세 이상은 긍정평가가 47%, 부정평가 42%였다.
다른 연령별 긍정평가는 40대 73%, 50대 67%, 30대 58%, 60대 55%, 18~29세 45% 등이었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의 긍정평가가 61%로 1주 전 조사보다 4%포인트 낮아졌다. 보수층은 부정평가가 59%였던 반면 진보층은 긍정평가가 87%에 달했다. 다만 진보층의 긍정평가도 지난주보다 4%포인트 줄었다.
이번 조사의 이념성향별 응답 인원은 보수 301명, 중도 343명, 진보 244명으로 보수가 진보보다 57명 더 많았다. '모름·응답 거절'은 114명이었다.
이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평가 이유를 물었더니 '경제·민생'이 14%로 가장 높았다. 이어 ‘외교’가 12%, ‘소통’과 '전반적으로 잘한다' 각각 7%, '추진력·실행력·속도감' 6%, '직무 능력·유능함' 5%, ‘전 정부 극복’, ‘여야 협치/통합’, ‘열심히 한다/노력한다’가 각각 4%였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가 22%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과도한 복지·민생지원금' 7%, '경제·민생', '독재·독단', ‘정치보복’이 각각 6%, ‘도덕성 문제/자격미달’이 5%였다.
한국갤럽은 “부정 평가 이유에서 '외교'가 다시 최상위로 부상했는데 이는 지난 주말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공장에서 일하던 한국인 노동자 300여 명이 불법체류 혐의로 체포·구금된 사건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 자체조사로 9일부터 1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2025년 6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역·성·연령별 가중치(셀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갤럽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