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건설이 건설업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단지’를 조성해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는 미래 도시 청사진을 제시했다.

현대건설은 압구정2구역에 우리나라 최초의 ‘로봇 친화형 아파트’를 제안하고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로 발전시키겠다고 10일 밝혔다. 
 
현대건설 압구정2구역에 국내 첫 '로봇 친화형 아파트' 제안, "미래 주거문화 청사진 제시"

▲ 현대건설의 압구정2구역 '현대자동차그룹 연계 로보틱스 라이프' 설명 이미지. <현대건설>


현대건설은 단지 설계부터 로봇 운용을 고려해 동선과 시스템을 최적화했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와 자동문, 통신망까지 로봇과 연동되도록 설계해 로봇이 단지 내 전 구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그룹사 역량을 총결집해 입주민의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및 주차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인공지능(AI) 플랫폼이 적용된 로봇이 단지 전역에서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입주민의 생활 파트너가 되는 구조다. 

단지 내부에는 현대차·기아의 ‘셔클’이 적용된 무인 셔틀이 운영된다. 셔클은 현대차그룹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Mobility On Demand) 서비스 플랫폼으로 실시간 승객 수요에 따라 노선과 운행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맞춤형 이동 서비스가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도 도입된다. 소형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쇼핑을 하고 돌아올 때 무거운 짐을 집 앞까지 실어줄 뿐 아니라 안면인식 등을 통해 배달 사고 없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배송해 준다.

입주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해서는 현대로템의 ‘무인 소방 로봇’이 있다. 고온과 유독가스 환경에서도 투입이 가능하고 열화상 카메라와 특수 장비를 통해 소방 인력 진입이 제한되는 화재 현장에서도 빠르게 대응해 입주민의 안전을 지키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밖에 ‘전기차 충전 로봇’, ‘발렛 주차 로봇’ 등을 통해 입주민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은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및 주차까지 아우르는 차별화된 로봇 솔루션이 적용된 최초의 도시”라며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며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가 적용된 미래 주거 문화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