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주요 금융 상장사들이 국제 표준 전산언어인 XBRL을 활용한 주석 재무공시를 모두 완료했다.
금융감독원(금감원)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자산 10조원 이상 대형 금융업 상장사 28곳이 XBRL 주석 제출을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XBRL(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은 기업 재무정보를 쉽게 생성, 접근,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재무보고용 국제표준 전산언어다.
금융당국은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접근성 개선 등을 위해 지난해부터 비금융업 상장사 등을 대상으로 재무제표 주석을 XBRL로 제출하도록 해왔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개별자산총액 10조 원 이상인 금융업 상장사는 반기 보고서를 시작으로 XBRL 주석을 의무 제출하도록 했다.
적용대상은 금융지주에서 KB·신한·우리·하나 등 4곳, 은행에서는 중소기업은행과 카카오뱅크가 포함됐다.
증권사는 미래에셋·삼성·한국투자 등 10곳이 대상이다. 이밖에 생명보험사 4곳, 손해보험사 7곳, 여신전문금융사 1곳을 합쳐 총 28개사가 XBRL 주석 공시 최초 적용 대상이 됐다.
자산 2조원 이상 금융사도 내년 반기보고서부터 XBRL 주석을 제출해야 한다.
금감원은 “금융업 첫 XBRL 주석공시는 금융업 상장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금융감독원과 유관기관 등의 제출인 교육 및 시범제출 지원 등으로 원활하게 시장에 안착하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금융업 XBRL 주석공시로 외국인 투자자가 비금융업뿐만 아니라 금융업의 영문 주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투자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
금융감독원(금감원)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자산 10조원 이상 대형 금융업 상장사 28곳이 XBRL 주석 제출을 모두 마쳤다”고 밝혔다.

▲ 금융감독원이 24일 자산 10조 원 이상 대형 금융업 상장사 28곳이 XBRL 주석 제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XBRL(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은 기업 재무정보를 쉽게 생성, 접근, 분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재무보고용 국제표준 전산언어다.
금융당국은 외국인 투자자의 정보접근성 개선 등을 위해 지난해부터 비금융업 상장사 등을 대상으로 재무제표 주석을 XBRL로 제출하도록 해왔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개별자산총액 10조 원 이상인 금융업 상장사는 반기 보고서를 시작으로 XBRL 주석을 의무 제출하도록 했다.
적용대상은 금융지주에서 KB·신한·우리·하나 등 4곳, 은행에서는 중소기업은행과 카카오뱅크가 포함됐다.
증권사는 미래에셋·삼성·한국투자 등 10곳이 대상이다. 이밖에 생명보험사 4곳, 손해보험사 7곳, 여신전문금융사 1곳을 합쳐 총 28개사가 XBRL 주석 공시 최초 적용 대상이 됐다.
자산 2조원 이상 금융사도 내년 반기보고서부터 XBRL 주석을 제출해야 한다.
금감원은 “금융업 첫 XBRL 주석공시는 금융업 상장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금융감독원과 유관기관 등의 제출인 교육 및 시범제출 지원 등으로 원활하게 시장에 안착하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금융업 XBRL 주석공시로 외국인 투자자가 비금융업뿐만 아니라 금융업의 영문 주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투자의사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