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14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준비단 사무실에 첫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후보자는 14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면서 “새 정부의 금융 국정 과제를 국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우선 과제에 대해서는 “포용금융 강화, 생산적 금융 대전환, 자본시장 활성화, 가계부채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다중위기’를 겪고 있다고 짚었다.
이 후보자는 “안으로는 서민경제와 거시경제가 어렵고, 밖으로는 관세 전쟁과 인공지능(AI) 기술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인구감소, 저성장 고착화, 양극화 등 구조적 문제가 한국 경제의 미래를 제약하고 있다”고 말했다.
생산적 금융과 관련해서는 “한국 금융의 현실을 보면 부동산, 예금, 대출 등 금융에 머물러 있는 부분이 많다”며 “자금의 물꼬를 보다 혁신적이고 미래산업적이고 국가 경제 부가가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어떻게 근본적으로 바꾸는지가 핵심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금융당국 조직개편과 관련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후보자 신분인 만큼 언급하는 게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말을 아꼈다.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과 관계 설정을 두고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시장·금융산업 발전, 국정과제 수행에서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며 “원팀 정신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제 금감원장과 통화를 해 이런 취지를 말씀드렸다”며 “금감원장도 공감했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