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유플러스는 2025년 연결기준 2분기 매출 3조8444억 원, 영업이익 3045억 원, 순이익 2171억 원으로 각각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2024년 2분기 대비 매출은 10%, 영업이익은 19.9%, 순이익은 31.9% 각각 증가했다.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7조5925억 원, 영업이익 5599억 원, 순이익 3796억 원을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17.9%, 순이익은 28.6% 각각 늘었다.
회사 측은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 자원의 효율적 재배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과 상품 차별화, 탄탄한 가입자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 등을 꼽았다.
마케팅 비용은 단말기 판매량 증가에 따라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 늘어난 5401억 원을 기록했다.
서비스 수익 대비 마케팅 비용 비중은 지난해 2분기와 비슷한 19.2%로 집계됐다. 설비투자(CAPEX)는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9.4% 감소한 3933억 원을 집행했다.
2분기 무선 사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8% 늘어난 1조6542억 원을 기록했다. 접속 수익을 제외한 모바일 서비스 수익은 1조5856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4.3% 증가했다. 전체 무선 가입회선은 지난해 2분기 대비 9.9% 늘어난 2991만7천여 개로 집계됐다.
초고속 인터넷과 IPTV 사업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은 지난해 2분기 대비 2.7% 증가한 636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2분기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302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7% 늘었다. 가입 회선도 547만9천 개로 같은 기간 대비 4% 상승했다.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솔루션, 기업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인프라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3% 감소한 4277억 원을 기록했다.
IDC사업은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5% 증가한 963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솔루션사업은 지난해 2분기 대비 1.9% 감소한 1260억 원의 매출을 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최고리스크책임자(CFO/CRO)는 “이번 분기에도 구조적 원가 경쟁력 개선 활동을 통해 2분기 연속 이익 턴어라운드를 기록할 수 있었다”며 “단통법 폐지 등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본원적 서비스 경쟁력을 확고히 하고 장기적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7조5925억 원, 영업이익 5599억 원, 순이익 3796억 원을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17.9%, 순이익은 28.6% 각각 늘었다.

▲ 8일 LG유플러스는 자원 재배치와 AI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에 힘입어 2분기에도 실적 반등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회사 측은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 자원의 효율적 재배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과 상품 차별화, 탄탄한 가입자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 등을 꼽았다.
마케팅 비용은 단말기 판매량 증가에 따라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 늘어난 5401억 원을 기록했다.
서비스 수익 대비 마케팅 비용 비중은 지난해 2분기와 비슷한 19.2%로 집계됐다. 설비투자(CAPEX)는 지난해 2분기에 비해 29.4% 감소한 3933억 원을 집행했다.
2분기 무선 사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8% 늘어난 1조6542억 원을 기록했다. 접속 수익을 제외한 모바일 서비스 수익은 1조5856억 원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4.3% 증가했다. 전체 무선 가입회선은 지난해 2분기 대비 9.9% 늘어난 2991만7천여 개로 집계됐다.
초고속 인터넷과 IPTV 사업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은 지난해 2분기 대비 2.7% 증가한 636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2분기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302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7% 늘었다. 가입 회선도 547만9천 개로 같은 기간 대비 4% 상승했다.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솔루션, 기업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인프라 부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0.3% 감소한 4277억 원을 기록했다.
IDC사업은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5% 증가한 963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솔루션사업은 지난해 2분기 대비 1.9% 감소한 1260억 원의 매출을 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최고리스크책임자(CFO/CRO)는 “이번 분기에도 구조적 원가 경쟁력 개선 활동을 통해 2분기 연속 이익 턴어라운드를 기록할 수 있었다”며 “단통법 폐지 등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본원적 서비스 경쟁력을 확고히 하고 장기적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