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베트남, 태국 등 아세안 증시인프라 개발사업 협력 강화에 나선다.
한국거래소는 정 이사장이 ‘베트남 자본시장 차세대 시스템 가동기념식’과 태국 증시 IT인프라 개발사업 협력강화를 위한 태국 자본시장 주요기관 방문을 위해 출국했다고 28일 밝혔다.
금융위원회와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28일(현지시각) 베트남 호치민 GEM 센터에서 열린 베트남 자본시장 차세대 시스템 가동기념식에 참석했다.
베트남 자본시장 차세대 세스템은 호치민증권거래소(HoSE), 하노이증권거래소(HNX) 및 베트남 증권예탁청산공사(VSDC)가 사용하는 베트남 자본시장 전체 IT 인프라(매매체결, 시장정보, 시장감시, 청산결제, 예탁 등록 시스템 등)를 선진화하는 프로젝트다.
금융위의 정책 지원 아래 한국거래소가 사업을 총괄 수행하고 있다. 5월 처음 가동돼 현재까지 약 3개월간 안정적으로 운영 하고 있다.
정 이사장은 축사에서 “베트남 자본시장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차세대 시스템의 성공적인 가동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로 쌓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향후 양국 자본시장 간의 호혜적인 협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30일 키티퐁 우라피파타나퐁 태국증권거래소(SET) 이사장, 아사데 콩시리 태국증권거래소(SET) 최고경영자(CEO)와 면담도 진행한다.
이번 면담에서는 4월1일 한국거래소와 태국증권거래소가 맺은 태국 차세대 청산결제시스템 공급 계약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양 거래소간 지속적인 기술협력 등을 논의한다.
정 이사장은 31일에는 위싯 위싯소라앗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을 만나 한국거래소가 구축해 현재 가동하고 있는 태국 시장감시 시스템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자본시장의 투자자 보호 강화 등 양국 자본시장 관련 의견을 나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정은보 이사장은 이번 출장으로 베트남·태국 자본시장 정책당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양국 자본시장 인프라 수출사업 전반을 점검할 계획”이라며 “향후 아세안 지역 증시 인프라 개발사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재용 기자
한국거래소는 정 이사장이 ‘베트남 자본시장 차세대 시스템 가동기념식’과 태국 증시 IT인프라 개발사업 협력강화를 위한 태국 자본시장 주요기관 방문을 위해 출국했다고 28일 밝혔다.

▲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8일(현지시간) 베트남 호찌민 GEM센터에서 열린 베트남 자본시장 차세대 시스템 가동기념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한국거래소>
금융위원회와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28일(현지시각) 베트남 호치민 GEM 센터에서 열린 베트남 자본시장 차세대 시스템 가동기념식에 참석했다.
베트남 자본시장 차세대 세스템은 호치민증권거래소(HoSE), 하노이증권거래소(HNX) 및 베트남 증권예탁청산공사(VSDC)가 사용하는 베트남 자본시장 전체 IT 인프라(매매체결, 시장정보, 시장감시, 청산결제, 예탁 등록 시스템 등)를 선진화하는 프로젝트다.
금융위의 정책 지원 아래 한국거래소가 사업을 총괄 수행하고 있다. 5월 처음 가동돼 현재까지 약 3개월간 안정적으로 운영 하고 있다.
정 이사장은 축사에서 “베트남 자본시장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차세대 시스템의 성공적인 가동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로 쌓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향후 양국 자본시장 간의 호혜적인 협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30일 키티퐁 우라피파타나퐁 태국증권거래소(SET) 이사장, 아사데 콩시리 태국증권거래소(SET) 최고경영자(CEO)와 면담도 진행한다.
이번 면담에서는 4월1일 한국거래소와 태국증권거래소가 맺은 태국 차세대 청산결제시스템 공급 계약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양 거래소간 지속적인 기술협력 등을 논의한다.
정 이사장은 31일에는 위싯 위싯소라앗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을 만나 한국거래소가 구축해 현재 가동하고 있는 태국 시장감시 시스템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자본시장의 투자자 보호 강화 등 양국 자본시장 관련 의견을 나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정은보 이사장은 이번 출장으로 베트남·태국 자본시장 정책당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양국 자본시장 인프라 수출사업 전반을 점검할 계획”이라며 “향후 아세안 지역 증시 인프라 개발사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