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3분기에도 흑자전환에 실패했다. 새로 회계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이 보수적으로 감사를 진행한 탓이다.
대우조선해양은 3분기 매출 3조531억 원, 영업손실 1413억 원을 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6.1% 줄었고 적자규모는 5049억 원 줄었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매출 9조9732억 원, 영업손실 5912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0.3% 줄었고 손실액은 1조2830억 원 감소했다.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가 제때 인도되면서 이에 대한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상선부문의 매출비중이 높아져 흑자전환이 기대됐으나 회계법인이 보수적으로 판단한 탓에 결국 흑자전환에 실패했다”고 설명했다.
회계법인이 확정되지 않아 측정할 수 없는 손실은 최대한 선반영하면서도 원가절감을 통해 얻은 수익에 대해서는 프로젝트가 종료될 때까지 반영을 지연시켰다는 것이다.
현재 삼일회계법인이 대우조선해양의 지정회계법인을 맡고 있는데 3분기에 대우조선해양 재무제표에 약 3천억 원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일회계법인은 2분기에도 대우조선해양의 이연법인세 자산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은 당기순손실이 기존 추정치보다 8500억 원가량 늘어나기도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일부 선박을 조기에 인도하는 등 생산이 안정화하고 있어 조만간 실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더욱 엄격해진 회계감사 탓에 대우조선해양이 흑자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