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국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1인당 GNI는 3만3천 달러대 중반으로 추정됐다. 2022년 3만2886달러보다 증가한 것이다.
1인당 GNI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GDP 디플레이터(경제 전반의 물가), 환율, 인구 등의 따라 좌우된다.
실질 GDP 성장률과 GDP 디플레이터가 오르면 GNI는 늘어나고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원화가치 하락으로 GNI는 줄어든다.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1.4%, 지난해 연간 GDP 디플레이터는 1% 후반 수준으로 각각 집계됐다. 반면 지난해 연평균 환율은 전년 대비 약 1% 상승하는데 그쳤다.
국내 1인당 GNI는 2017년 3만1734달러로 처음으로 3만 달러 시대를 열었다.
이후 2018년 3만3564달러까지 증가했다가 2019년 3만2204달러, 2020년 3만2004달러로 2년 연속 감소했다.
2021년 경기회복과 원/달러 환율 하락에 힘입어 3만5373달러까지 반등했으나 2022년 원화가치 하락에 영향을 받아 3만2886달러로 후퇴했다. 조승리 기자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1인당 GNI는 3만3천 달러대 중반으로 추정됐다. 2022년 3만2886달러보다 증가한 것이다.

▲ 25일 한국은행은 지난해 국내 1인당 국민총소득이 3만3천 달러대 중반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1인당 GNI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GDP 디플레이터(경제 전반의 물가), 환율, 인구 등의 따라 좌우된다.
실질 GDP 성장률과 GDP 디플레이터가 오르면 GNI는 늘어나고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원화가치 하락으로 GNI는 줄어든다.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1.4%, 지난해 연간 GDP 디플레이터는 1% 후반 수준으로 각각 집계됐다. 반면 지난해 연평균 환율은 전년 대비 약 1% 상승하는데 그쳤다.
국내 1인당 GNI는 2017년 3만1734달러로 처음으로 3만 달러 시대를 열었다.
이후 2018년 3만3564달러까지 증가했다가 2019년 3만2204달러, 2020년 3만2004달러로 2년 연속 감소했다.
2021년 경기회복과 원/달러 환율 하락에 힘입어 3만5373달러까지 반등했으나 2022년 원화가치 하락에 영향을 받아 3만2886달러로 후퇴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