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에쓰오일이 국제유가 하락에 3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다만 윤활유 부문 영업이익은 크게 증가했다.
에쓰오일은 2022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1조1226억 원, 영업이익 5117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2021년 3분기보다 매출은 56.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6.9% 줄어든 것이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를 웃돌기도 했던 올해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2.8%, 영업이익은 70.3% 감소했다.
3분기 영업이익을 사업부별로 보면 정유 부문은 78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57.5%, 올해 2분기와 비교해 94.5% 줄었다.
에쓰오일은 원유 가격이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하락하면서 유가관련 손실 효과가 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윤활기유 부문에서는 영업이익 3767억 원을 냈다. 지난해 3분기보다 30.4% 증가했다.
윤활기유 부문은 국제유가 하락에 원재료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을 이뤘다.
석유화학 부문은 영업이익 561억 원을 나타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3% 감소했다.
에쓰오일은 “4분기 정유 부문에서는 겨울철 계절적 수요 증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역대 최대 수준에 근접한 3분기와 비교하면 조정되지만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에쓰오일은 2022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1조1226억 원, 영업이익 5117억 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 에쓰오일이 국제유가 하락 탓에 3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다만 윤활유 부문에서는 원재료 가격 하락에 수익성을 개선했다.
2021년 3분기보다 매출은 56.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6.9% 줄어든 것이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를 웃돌기도 했던 올해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2.8%, 영업이익은 70.3% 감소했다.
3분기 영업이익을 사업부별로 보면 정유 부문은 78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57.5%, 올해 2분기와 비교해 94.5% 줄었다.
에쓰오일은 원유 가격이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하락하면서 유가관련 손실 효과가 3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윤활기유 부문에서는 영업이익 3767억 원을 냈다. 지난해 3분기보다 30.4% 증가했다.
윤활기유 부문은 국제유가 하락에 원재료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을 이뤘다.
석유화학 부문은 영업이익 561억 원을 나타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3% 감소했다.
에쓰오일은 “4분기 정유 부문에서는 겨울철 계절적 수요 증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역대 최대 수준에 근접한 3분기와 비교하면 조정되지만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