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은보 금융감독원 원장이 국내 은행장들에게 자사주 매입과 배당은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3일 서울 중구에 있는 은행회관에서 열린 17곳 국내은행 은행장과의 간담회에서 “은행은 대내외 충격에도 자금 중개 기능을 차질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평소 기준에 안주하지 말고 잠재 신용위험을 보수적으로 평가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장 정은보 "은행 충당금 충분히 쌓고 배당은 신중해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이어 “자사주 매입과 배당 등은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신중하게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은행이 대손충당금과 자본을 충분히 적립했는지 점검하고 손실흡수 능력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은행권에 가계 및 기업부채 관리에 보다 중점을 둬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정 원장은 “금리 상승 및 자산 가격 조정에 따른 가계부채 부실 문제가 우리 경제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되 실수요층에 대해서는 자금 애로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관리해달라”고 말했다.

기업 신용위험에 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됐을 때 상환 부담 급증으로 부실이 확대되지 않도록 연착륙 방안을 마련해달라고도 했다.

정 원장은 외화유동성 관리 강화도 강조하면서 “금감원은 은행의 외화 유동성 관리 능력과 국가별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한도 관리의 적정성을 점검하고 취약 부문이 발견되면 신속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이 과도한 예대마진을 추구한다면 금융 이용자의 순이자 부담이 늘어나 국민의 신뢰를 받기 어렵다”며 “은행권에서 예대금리차가 적정한 수준에서 관리되고 금리 산정 절차가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운영되도록 노력해달라”고 말했다.

은행에 금리인하요구권 활성화도 요청했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예대금리 공시 등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