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과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GIO)이 대형IT플랫폼기업의 소상공인 착취 논란과 관련해 상생에 더욱 힘을 쏟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 의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플랫폼기업이 소상공인에게 지나치게 많은 수수료를 물린다는 지적을 받자 “카카오 계열사 대표들과 모여 소상공인과 상생에 관련된 부분을 더욱 밀도 깊게 이야기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카카오 김범수 네이버 이해진, 국감에서 소상공인 상생 확충 한목소리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왼쪽)과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의 질문에 각기 대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더욱 현실적이고 적극적으로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춰 회사마다 하나씩 상생계획 발표를 하는 것을 독려하고 있다”며 “시간을 조금만 더 준다면 더욱 많은 부분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개인적으로 플랫폼 수수료나 이익을 플랫폼기업이 독점하는 구조는 안 된다고 강하게 생각한다”며 “미흡한 부분을 빨리 보정해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GIO도 “소상공인과 협력문제는 오랫동안 여러 형태로 많이 애써왔지만 여전히 미진하고 부족한 점이 많다”며 “더욱 적극적으로 움직이면서 보탬이 될 수 있는 일이 있는지 경영진과 깊이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내가 알고 있는 한 소상공인의 매출이 늘었다고 네이버가 수수료를 더 받진 않는다고 알고 있다”면서도 “혹시 수수료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수수료를 더욱 낮춰서 할 수 있는 길이 있는지도 찾아보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김 의장과 이 GIO는 플랫폼기업의 시장 독과점과 문어발식 사업확장논란에 관련해서는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김 의장은 “카카오는 시장에 직접 진출하기보다 재능있는 스타트업을 발굴해 육성한 뒤 이를 인수합병하는 방식으로 성장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타트업이 기술을 갖춰도 인프라나 마케팅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은데 이를 카카오가 지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문어발식 사업확장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이 GIO는 “네이버의 독과점으로 국내에서 경쟁이 벌어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해외기업이 국내 시장에 들어오면서 네이버가 오히려 국내시장을 빼앗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플랫폼기업으로서 규제를 어느 정도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자칫 이 때문에 경쟁력이 저하되면서 잃고 있는 시장을 더욱 잃게 될까 두렵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